영문법같은 많은 내용을 완벽히 암기하는 것을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기 힘듭니다.영어 고수의 접근법은 영어를 관통하는 단순한 핵심 원리를 머릿속에 먼저 장착 후 경험을 통해 배웁니다.Simplicity is the ultimate sophist
1장에서 봤듯이 그림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이 "영어의 어순"으로 굳어졌습니다.💡 영어의 어순영어의 어순은 행위자를 가장 먼저 제시하고, 가까운 순서(시간, 공간, 논리, 인과적)대로 나열됩니다. 행위자 → 동작 → 대상 → 상황 정보행위자 : 행위를 하는 사람
정보가 나열되는 순서와 방식을 염두에 두고 받아들여, 머릿속에서 '그림'을 구현해 나가면 됩니다! 글자를 보면서 그림을 만들어갑니다. '자동사'와 '타동사'를 문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문법 용어를 정확히 구분하는 것은 중요하
우리는 be 동사를 다음과 같이 알고 있습니다. be 동사 : "~이다 / 있다"그렇지만 이는 잘못 알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조금 부족하게 알고 있는 것입니다.위 문장을 보면 동작이 없습니다. 동작을 넣어주고 싶은데 움직임은 없는 것이 be동사입니다. 즉, be 동사는
be 동사 외의 연결 동사들은 자신이 가진 의미를 덧붙이며 다음 정보로 연결합니다.be 동사 이외 연결 동사들은 동작 동사로 쓰이기도 합니다. 굳이 둘은 구분하는 방법은 연결 동사로 쓰인 경우는 be동사로 교체해도 의미가 통합니다.반면에 동작 동사로 쓰인 경우는 be동
💡 후치 수식 : 수식하는 말이 수식받는 말 '뒤'에 위치한다.물체 / 객체(명사)에 대한 자세한 설명(수식) 은 그 '뒤'에 덧붙입니다.영어는 그림기반의 언어라고 했죠? 그리고 그림으로 뭔가를 전달하는 방식이 영어 어순이 된거죠? 뭔가 하나를 잡고 뭔가를 설명하는
영어가 만들어지던 유럽권에서는 전쟁이 많이 일어나던 곳으로 빠른 의사전달이 필수였습니다.그래서 영어는 효율성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래서 뭔가 하나의 의미, 단어를 여기저기에 재활용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V-ing와 V-ed도 이와 같은 경우로 동사(Ve
동사(Verb)에 특정 개념을 덧붙여서 재활용V-ingV-ed 동사(V) 앞에 to가 붙으면서 '앞으로 행해질, 이제 일어날'정도의 개념이 덧붙습니다.영어 문장을 보고 빠르게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지,이미 파악한 의미를 기반으로 문법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그다지 필
to V (to 부정사)시간차V-ing진행 / 능동현재 분사(Present Participle), 동명사 (Gerund) 분석 Xstop, remember, forget, try 등 암기하지 말고 to V / V-ing 각각의 개념을 넣어보면 굳이 암기하지 않아도 자연
Bare은 벌거벗은, 빈이란 느낌으로 원형 부정사는 to 부정사가 빠져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to 부정사는 시간차의 개념이라 했었는데 원형 부정사는 to를 뺸 것이니 시간차의 개념이 빠졌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사역 동사문장의 주체가 스스로 행하지 않고, 남에게 동작
시제(Tense) 란 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언급하는 사건이 일어난 시간적 위치를 표시하는 문법 범주를 말합니다.시제는 2가지 개념을 갖고 있습니다.시간 개념현실성 개념현재 눈 앞에 벌어지는 일 → 현실성이 높은 일 → '일반적 사실'을 언급할 때도 현재 시제를 사용합
조동사 다음에는 동사원형이 와야 합니다.조동사는 기본적으로 미래지향적인 의미가 있습니다.조동사 + have + ~ed(p.p.) 조동사의 의미 + 과거 의미(한국어 '-었/았-')to + have + ~ed (p.p.)to 부정사 개념 + 과거 의미having + ~e
과거 시제는 '현실에서 한 발 물러선 개념'을 담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사실에 대한 상상 / 가정 / 비현실적 상황을 이야기할 떄에 '과거 시제'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쓰인 과거 시제는 시간 개념으로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간 개념의 과거'와 구분하여 가정법
행위자 → 동작 → 대상 → 상황 정보명령문은 기본적으로 '행위자'없이 '동작'으로 시작하는 어순입니다.동작 → 대상 → 상황 정보명령문에서 행위자 'you'를 쓰면 명령을 강조하는 느낌을 주게 됩니다.'~을 하지 마라'라고 할 떄는 Don't를 붙이면 됩니다.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