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rammer-10-원형 부정사 (Bare Infinitive)

SeungWoo Yoo ·2023년 2월 7일
0

원형 부정사(Bare Infinitive)

Bare은 벌거벗은, 빈이란 느낌으로 원형 부정사는 to 부정사가 빠져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to 부정사는 시간차의 개념이라 했었는데 원형 부정사는 to를 뺸 것이니 시간차의 개념이 빠졌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사역 동사

문장의 주체가 스스로 행하지 않고, 남에게 동작을 하도록 시키는 의미를 담은 동사 → make, have, let

추가적으로 help도 습관적으로 to를 뺴기도 합니다. 그래서 준사역동사라고 부릅니다.

// 5형식
// 주어 -> (주어의)서술어 -> 대상 -> (대상의)서술어
Steve asked Peter to clean the room.
Steve helped Peter to clean the room.
Steve helped Peter clean the room. (준사역 help)

// to를 뺸 원형부정사
Steve made Peter clean the room. | to clean -> clean
Steve let Peter clean the romm   | to clean -> clean

// 지각 동사
// 원형 부정사가 쓰이면 전체 과정을 지켜봤다는 의미
// V-ing가 쓰이면 행동이 진행되고 있는 것을 봤다는 의미
Steve saw Peter clean the romm.
Steve saw Peter cleaning the room.

to V 형태가 가진 '시간차 / 미래지향적' 개념은 필연적으로 불확실성의 뉘앙스를 내포하게 됩니다. 이것이 make가 가진 '확실성'의 의미와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make 다음에 오는 to V 형태에서는 to를 제거합니다.

💡 지각 동사

보고, 듣고, 느끼는 등 감각의 작용을 나타내는 동사들은 동시성의 개념이 있어 to와 어울리지 않아 to를 빼줍니다.

→ see, watch, look at, hear, feel, notice

정리하면 동작이 '확실성' 혹은 '동시성' 의미를 가진 경우는 to V의 '시간차 / 미래지향적' 개념이 어울리지 않아 '시간차 개념'인 to를 빼고 쓰는 것이 원형 부정사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좌에서 우로 문장을 읽었을 떄 한 번에 파악되는 가입니다.

추가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동사 원형'과 '원형 부정사'를 별개의 문법 용어처럼 다루지만 실제로는 같은 말입니다. 즉, 여기서 배운 경우 외에도 '동사 원형'이 쓰이는 모든 상황에서 Bare Infinitive(원형 부정사)라는 용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
Front-end 공부 중... 책 읽는 걸 좋아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