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법같은 많은 내용을 완벽히 암기하는 것을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기 힘듭니다.
영어 고수의 접근법은 영어를 관통하는 단순한 핵심 원리를 머릿속에 먼저 장착 후 경험을 통해 배웁니다.
Simplicity is the ultimate sophistication. - Leonardo da Vinci
단순함이 궁극의 정교함이다 - 레오나르도 다 빈치
알파벳이란 그리스 문자, 로마자 따위의 서양 언어를 표기하는 데 쓰는 문자들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흔히 '로마자'를 가리키기도 하는데, 그것은 알파벳이 로마인들이 쓰던 라틴어 알파벳의 영향을 받아서 그렇답니다.
알파벳은 일반적으로 이집트 문자와 수메르 문자의 영향을 받아서 페니키아인이 만들었다고 합니다.
페니키아 문자는 그리스, 라틴 문자를 거쳐 오늘날의 형태로 발전합니다.
페니키아인이 만든 알파벳은 그리스인에게 가장 먼저 전해졌습니다.
그리스 인은 글자를 몇 개 추가하여 그리스 알파벳을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그 뒤 페니키아와 그리스가 로마에게 멸망당했는데,
로마는 그리스 알파벳을 받아들여 오늘날의 알파벳과 거의 비슷한 알파벳을 만들었습니다.
알파벳의 사용으로 인해 지식의 대중화가 가능해졌습니다. 당시만 하더라도 문자는 성직자나 귀족 등 소수 엘리트의 전유물이었습니다.
한자를 알려면 최소 1000자, 메소포타미아의 서기들은 600자의 설형문자를 알아야 문자생활이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인들은 24자의 알파벳만 알고 있으면 자유자재로 사물과 추상적 관념을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문자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알파벳의 발명이야말로 지식의 대중화를 가져온 혁명적인 사건이라고 평가합니다.
즉, 알파벳을 통해서 대중 교육이 가능해졌습니다.
그림의 특징은 그림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즉, 영어의 '어순'에 반영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Steve부터 출발해서 tree로 끝납니다.
문장에 관사나 전치사 등이 추가로 붙이면 영어 어순이 됩니다. 행위자를 가장 먼저 제시하고,
그와 가까운 순서대로(시간적/ 공간적/ 논리적 / 인과적 순서로) 나열합니다.
행위 → 동작 → 대상 → 상황 정보
영어 문장을 읽을 떄 Steve picks an apple from a tree.
라는 문장에서 위 그림이 떠올라야 합니다. 한국어는 그림 기반의 언어가 아닙니다. 위 그림을 한국어는 "스티브가 나무에서 사과를 가져왔다"라는 등의 어순이 왔다갔다 합니다.
영어는 하나의 단어가 다양한 품사, 의미로 쓰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명사도 되기도 하고 동사가 되기도 합니다.
"Hand"라는 단어를 보면, 2가지 뜻이 있습니다.
- 손
- 건네주다
회의를 끝마치고 서로 악수하는 장면에서도 손이라는 그림이 있습니다. 즉, 이미지가 글자가 되었기 떄문에 여러 의미가 담겨있습니다. 그래서 영어 단어는 이미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기본적인 단어일 수 록 이런 특징이 두드러집니다.
또 다른 예로 "Book"은 책, 예약하다, 기록하다라는 의미가 있죠.
- 책
- 예약하다, 기록하다 (Book으로 뭔가 하는 장면들)
"Cup"은 컵, 손을 컵 모양으로 쥐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 컵
- 손을 컵 모양으로 쥐다
이 단어들을 단순 암기하는 것보다 '이미지'적으로 확장시켜 상황과 맥락에 맞춰 유연하게 의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한국어
는 소리 기반의 언어입니다.
한국어는 소리가 먼저 만들어지고 글자가 나중에 만들어졌기 떄문에 소리로 표현되는 것을 모두 글자로 표기했습니다.
예를 들어 [뷁], [낢] 같은 단어들을 쓰지는 않지만 모두가 똑같이 읽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한글은 '글자'와 '소리'가 규칙적으로 대응하므로, 같은 글자는 예외없이 모든 사람이 동일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영어
는 그림 기반의 언어라고 했죠? 그림에서 시작된 글자에서 나중에 언어로 쓸 수 있는 소리로 발전했습니다. 한국어와 반대죠.
[Sage], [Nafe] 등의 영어 단어들을 미국, 영국, 인도, 독일, 기타 영어권 국가들은 읽는 방법이 다 제각각입니다.
즉, 영어 알파벳은 소리를 내는 기본 규칙은 있지만 예외가 많아서 상황과 사람에 따라 다르게 읽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일본어도 소리 기반 언어입니다. 그리고 중국어는 그림 기반의 언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