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자 → 동작 → 대상 → 상황 정보
Steve picks an apple from a tree.
명령문은 기본적으로 '행위자'없이 '동작'으로 시작하는 어순입니다.
동작 → 대상 → 상황 정보
Pick an apple from a tree.
Stop talking.
Be quiet.
명령문에서 행위자 'you'를 쓰면 명령을 강조하는 느낌을 주게 됩니다.
You stop talking.
'~을 하지 마라'라고 할 떄는 Don't를 붙이면 됩니다.
Don't stop talking.
Don't be quiet.
Don't를 붙인 부정 명령문에서 행위자 you를 쓸 수도 있습니다.
Don't you stop talking.
Don't you be quiet.
일반 동사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do / does / did 를 문장 맨 앞에 씁니다.
Does steve pick an apple from a tree?
be 동사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be 동사를 문장 맨 앞에 보냅니다.
Is Steve a student?
조동사가 사용된 문장에서는 조동사를 문장 맨 앞으로 보냅니다.
Can Steve swim?
have(had) + p.p. 형태의 문장에서는 have (had)를 문장 맨 앞으로 보냅니다.
Have you seen a dog?
정리하면, 어순을 파괴시키는 것과 함께, 억양을 바꾸고 물음표를 붙이면서 '의문문'이라는 특별한 문장을 만든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명령문"과 "의문문"은 모두 일반적인 어순을 파괴하면서 다른 의미를 전달하는 문장들입니다.
💡 도치 : 문장 안에서 일반적인 어순이 바뀌어 있는 것
Boy는 명사로 '소년'이라는 뜻 외에도, 감탄사로 '어머나, 맙소사, 이런'의뜻도 가지고 있습니다.
Boy, was I wrong.
Wow, is she beautiful.
there / here 가 쓰이는 경우에도 관습적으로 도치가 발생합니다. there의 의미(거기에)가 거의 희미해져서 그냥 하나의 관용 표현처럼 사용되기도 합니다.
there is / are ~ : ~이 있다.
There is a book. | (도치)
A book is there. | (원래 문장)
Here comes the bus | (도치)
The bus comes here. | (원래 문장)
부정의 의미가 담긴 부사(not / never / hardly )로 문장이 시작되는 경우 관습적으로 도치가 발생합니다.
Not only did he win the race, but also he broke the rec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