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자체가 의미를 갖는다.종류이산형 변수 (discrete variable) : 값이 셀 수 있는 집합에 속한다. ex) 불량 제품의 수연속형 변수 (continuous variable) : 값이 특정 구간에 속한다. ex) 신장, 체중수가 의미를 갖지 않는다.종류명목
1. 분할표의 확률구조 2차원 분할표 (two-way contingency table) $$(I\times J)$$ 분할표 : I개의 X변수와 J개의 Y변수로 구성된다. 범주형 변수들의 관찰도수를 2차원으로 정리한 표 칸(cell) : 범주형 변수들의 범주 조
두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사건들을 관측하면,그룹 1에서 Y에 대한 조건부 분포는 베르누이 분포를 따른다.$Y|X=1\\sim B(n_1, \\pi_1)$그룹 2에서 Y에 대한 조건부 분포는 베르누이 분포를 따른다.$Y|X=1\\sim B(n_2, \\pi_2)$$\\pi
독립성 검정 (Pearson, LRT, standardized residual) 개념 및 R실습 1. 이차원 분할표의 기대빈도 1-1. 독립성 검정을 위한 귀무가설 1-2. 귀무가설 하에서 기대빈도 (expected frequency) 1-3. 귀무가설 하에서 기대
임상시험의 경우 실험군과 통제군을 제외한 모든 변수를 통제한다.하지만, 대부분의 사회과학연구는 관찰연구로 진행되기 때문에 변수를 통제하기 어렵다.독립변수와 반응변수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교락변수 (confounder)가 존재할 수 있으며, 교락변수에 의한 영향을 교락효
1. 조건부 독립성 동질적 연관성 (homogeneous association) $(X,Y,Z)$에 대한 $(2 \times 2 \times K)$ 분할표가 있을 때, 동질적 연관성은 Z 수준에 관계없이 오즈비가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 \theta{X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