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서 비즈니스 뷰를 구축하게 되었다.이 뷰에는 도감 데이터를 하나의 테이블로 집약해 관리할 필요가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RDBMS의 전통적인 "정형 데이터"만 다루는 방식을 넘어, JSON이나 Array 같은 타입도 함께 사용하게 되
Trigger 아이콘현재 진행중인 학회 프로젝트에서, 앱 개발 쪽 요구사항이 새로 들어왔다.앱에서는 도감 데이터를 일괄적으로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캐싱해 사용하고, 주기적으로 해당 데이터에서 변경된 부분만 확인해 받아오려고 합니다.그럼 서버 쪽에서는1\. 도감 데이터를
최근 학회 프로젝트에서 백엔드 2명이서 협업하면서 git 전략에 대해 깊이 고민할 일이 생겼다. 이 글은 그 과정을 기록한 것이다. merge, rebase, squash에 대한 개념 정리와 함꼐, 내가 어떤 기준으로 전략을 선택했는지도 담겨 있다.1-1. 마주한 문제
원인:pillow 패키지의 버전 문제였습니다.해결:'conda install --channel conda-forge pillow=10.1.0'이곳을 참고하여 해결했습니다.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마다 항상 똑같은 보일러플레이트를 쓰는데, 매번 일일이 지웠다 쓰는 게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 간단한 shell script와 VSCode의 tasks.json을 사용해 자동화해보자.
Prettier와 ESLint가 뭔지, 어떻게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인지를 정리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