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WCAG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Korean 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 웹의 힘은 보편성에 있다. 장애와 상관없이 모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팀 버너스리 (W3C 디렉터 및 World Wide Web의 창시
본 표준은 ‘W3C 웹 콘텐 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2.0(2008.12.)’의 12 개 지침과 이의 준수를 위한 성공 기준의 중요도 A 항목을 중심으로 국내 여건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건너뛰기 링크반복 영역의 순차적인 내비게이션을 생
인식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콘 텐츠를 동등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1)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운용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들을 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1) 키보드 인터페이스와 기능 : 콘텐츠의 모든 기능은 키보드로 사용이 가능하여야 한다.
이해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웹 브라우저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텍스트 콘텐츠의 언어 정보를 바탕으로 텍스트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거나 보
견고성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술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함을 의미 한다.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1) 요소의 열고 닫음 일치 : 마크업 언어로 작성된 콘텐츠는 표준에서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원문 : https://www.w3.org/WAI/tips/developing/설명이 필요하지 않은 이미지는 alt="" 비워둔다.https://www.w3.org/International/questions/qa-html-language-declara
https://www.w3.org/WAI/WCAG21/quickref/웹 사이트 접근성 평가하기스크린 리더 : Screen Reader접근성 검사 사이트 : W3C HTML Validator (The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we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