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 정리

Sshu Sshu·2023년 1월 25일
1

웹 접근성

목록 보기
2/8

KWCAG 2.1

본 표준은 ‘W3C 웹 콘텐 츠 접근성 가이드라인 2.0(2008.12.)’의 12 개 지침과 이의 준수를 위한 성공 기준의 중요도 A 항목을 중심으로 국내 여건을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용어정리 요약

건너뛰기 링크
반복 영역의 순차적인 내비게이션을 생략하고 웹 페이지의 핵심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는 수단
예) 버튼, 텍스트 링크

드롭다운 메뉴 (drop-down menu)
여러 개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는 목록에서 하나의 항목만 보이다가
사용자가 메뉴 확장 버튼을 활성화시키면 나머지 목록의 전부 또는 일부가
아래로 펼쳐져 나타나는 방식의 사용자 입력 컨트롤을 의미 한다.

레이블
모든 사용자 입력의 용도 또는 역할에 대한 설명을 레이블이라 한다.
예) 텍스트 입력 상자, 라디오 버튼, 체크상자, 드롭다운 메뉴에 대한 설명

멀티미디어 (multimedia)
시간의 변화에 따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디오 또는 비디오 콘텐츠를 또 다른 포맷과 동기화하여 제공하도록 만들어진 콘텐츠
또는 콘텐츠 재생 과정의 특정 시점에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이 필요한 매체를 말한다.

반복 영역 (repetitive block)
동일한 내용이 같은 위치에 여러 웹 페이지에 걸쳐 나타나는 영역을 의미한다.
예) 글로벌 내비게이션(global navigation) : 반복되는 영역, 메뉴, 링크 모음

보조 기술 (assistive technology)
장애를 지닌 사용자의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기능을 추가하여 제공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예) 화면 낭독 프로그램(screen reader), 화면 확대 프로그램, 특수 키보드

접근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accessibility programming interface)
운영체제 또는 플랫폼은 응용 프로그램과 보조 기술 간의 정보 전달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한다.
웹 애플리케이션을 접근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구현하면 보조 기술과 호환성이 유지된다.
예) Windows 환경의 MSAA, UI Automation, IAccessible2, MacOSX 환경의 AXAPI

콘텐츠의 선형 구조
화면 낭독 프로그램 사용자는 모든 콘텐츠를 순차적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인 배치가 아닌 읽어주는 순서가 중요하다.
여기서 콘텐츠가 보조 기술로 제공되는 순서를 콘텐츠의 선형 구조라고 하며 이 구조는 논리적이어야 한다.

풀다운 메뉴 (pull-down menu)
메뉴 바(menu bar)에서 특정 항목을 선택(마우스 오버, 키보드를 이용한 초점)하거나,
활성화되면 선택한 메뉴 항목의 아래 쪽으로 하위 메뉴 항목들이 펼쳐져나 타나는 방식의 메뉴를 말한다.

플러그인 (plug-in)
어떤 응용 프로그램에 추가되어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한 프로그램 모듈이다.
예)플래시 플레이어(Flash Player)


본 표준은 원칙, 지침, 검사 항목의 3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profile
Front-End Develop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