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을 위해 필요한 역량... 막연하게만 생각해왔던 부분이다.sql , python , 인사이트 추출, 시각화? 제로베이스 3일차에서 준 영상 두가지에서는 이렇게 이야기 한다.여러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문제 정의 역량비즈니스 모델 파악하는 역
Q1.뭐부터 해야 하나요?채용공고를 아주 많이 읽어봐야 한다!Q2.채용공고가 왜 중요한가요?회사마다 분석가의 일이 다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 하기가 어렵다.그래서 가고싶은 회사의 채용공고를 파헤쳐야 한다.또한, 신생분야이기 때문에 실무가 이렇다하는 기술스택이 정형화 되어
비전공자로 데이터직군으로 목표를 좁히게 된지 2년이 걸렸다..처음에는 풀스택 개발자로 큰 꿈을 꾸었으나 컴퓨터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 나에게는맨땅에 헤딩도 이런 헤딩이 없었기 때문에 3개월만에 포기선언을 했었고,그 다음은 PM직군으로 성공하기 위해 계약직으로 PM보조
데이터엔지니어 , 데이터분석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각각 어떤 업무를 하는지어떤 성격을 띄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사실 정확한 업무 내용이 파악이 되어있지 않아서 어떤 직무로 가면 좋을지 감이 오지 않았었는데이제 좀 나한테 더 맞는 업무가 무엇일지 알 것 같다.사실 나
포트폴리오를 제대로 만들어본 적이 없던 것 같다. 물론 이전에 PM코스를 할 때 했던 미니프로젝트로 포트폴리오까지 만들기는 했지만 너무 내가봐도 허접하디 허접했다.. 사실(애정이 별로 없었다..) 그래서 이제는 취업을 목표로 하는 공부이기 때문에 내가 가고싶은 직
\---> 파이썬은 왜 데이터 분석에 많이 쓰일까?\---> 데이터 분석 SQL만 잘 다뤄도 먹고 들어갑니다.상세 미션 내용SQL과 파이썬 중 각각의 장점은 무엇이며 각 언어에 대한 차이점은 무엇인지 작성해 주세요SQL 과 파이썬의 장단점을 명확하다.먼저 파이썬의 장점
오늘은 2가지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어 보고자 한다.먼저 개발자에게 협업이란 무엇일까? 왜 필요할까?나는 데이터쪽으로 직군을 변경하고자 마음먹기 전, PM코스 과정을 3개월간 듣고 이수를 했다.그 과정에서 가장 먼저 이야기 했던 것이 바로 소프트스킬 이다. 소프트스킬은
출처https://fastcampus.co.kr/media_branding_ysb2데이터 분석가 / 사이언티스트 / 엔지니어의 차이는 무엇일까?Data Scientist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과학자) DSData Analyst 데이터 애널리스트 (분석가) DA
입과계기 / OT를 듣고 나서 여러분들의 각오, 다짐여러가지 부트캠프들을 많이 도전해보았는데 직장을 다니면서 병행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그리고 100% 취업연계를 해준다는 광고에 홀린듯이 이끌린 것도 사실이다.그러나 가장 맘에 들은 부분은 '논문' 을 작성할 수 있다는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mKf1kvWXiPY&t=769s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어떤 사람일까?토스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는 연구, 개발모델을 활용하여 비즈니스 가치를 더하려고 노력하는 팀.토스내에는 작은 스타트업과 유사한 S
이제 시작이다..!11/1 부로 시작된 제로베이스 AI취업스쿨..!6개월간 고민만 하며, 답답해 했던 시간들이 스쳐 지나간다.이 과정이 끝나고나면 나는 정말 그렇게도 원하던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취업에 성공해 있을까? 정말 기대가 되면서도 걱정이 되기도 한다.그러나, 잘
이번주에 들어야 할 강의들이다.사실 나는 파이썬 기초는 어느정도 알고 있기 때문에 수월하게 강의를 들었고,아는 부분들은 빠르게 뛰어넘었다.하지만 다 안다고 착각했지만 중간중간 처음 듣는 모듈 같은 것들이 나오면 다시 겸손함으로 다져지곤 했따...ㅎㅎㅋㅋ아무튼 이번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