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L이라는 것을 일단 설명해야한다. URL은 Uniform Resouce Locator의 약자로서 resource를 어디서 어떤 방법으로 받을지 설명하는 식별자이다. 보통 protocol(ex> http) + domain name(ex> www.naver.com) +
일단 설명하기에 앞서 알아야 할게 있다.현재는 OSI(Open System Interconnection) 7계층이 아닌 tcp/ip 4계층을 따른다. 이유는 tcp/ip 4계층가 시장점유 싸움에서 이겼기 때문. 그래서 tcp/ip 4계층을 기준으로 설명을 이어가겠다.우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의 약자이다. 다른 출처(또는 도메인)로 부터 스크립트를 이용한 json과 같은 데이터를 불러올 때 보안상의 이유로 제한하는 것을 뜻한다.https://domain-a.com => https://do
몇번 사용한적은 있지만 아주 대략적으로만 알고 있어서 구글링 해보았다.우선 영어설명을 들여다 보자. A RESTful API is an architectural style for an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that uses 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