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앱을 구축하는 것은 복잡한 과정이다. 때때로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런 문제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오류가 발생할 것을 예상하고 그에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Error Boundary를 알아보고 직접 만들어 보자.
리액트에서 외부 API 호출할 때 사용하던 useEffect 훅과 로직을 커스텀 훅인 useFetch로 만들어주면 어떤 장점이 있을까? 직접 만들어 보자.
소셜 로그인으로 구현한 로그인 로직에서 동일한 사용자로 로그인을 시도했음에도 로그인이 잘되는 경우와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성공이면 성공, 에러면 에러가 아닌 난감한 상황.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해결해보자.
"상태가 변하면 리렌더링"으로만 이해하지 말고 상태 업데이트로 인해 React에서는 어떠한 과정이 일어나는지 조금 더 깊게 이해해보자.
브라우저가 HTML, CSS, 자바스크립트로 작성된 텍스트 문서를 어떻게 파싱(해석)하여 브라우저에 렌더링 하는지 알아보자.
Effect의 의존성 배열에 객체를 사용하면 생기는 문제점을 이해하고 내 코드를 수정해보자.
리액트 공식문서를 학습하면서 잘못된 Effect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불필요한 Effect를 사용하는 것은 아닐까? 라는 고민을 가져보자.
상품을 등록하는 페이지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 후 돌아오면 작성했던 내용이 모두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했다. 로컬스토리지를 이용해서 해결해보자.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한번 학습을 했지만, 리액트를 배우면서 마법과 같았던 Hooks(useState, useEffect, useCallback, useMemo 등)들이 클로저의 활용임을 알게 되었다. 좀 더 딥하게 클로저에 대해서 알아보자.
React로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하는데 발생했던 버그들로 고생을 했다..정리하고 기록해서 나중에는 벌레 잡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자 😅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되는 HTTP 비동기 통신 라이브러리 `Axios`는 RESTful한 웹 API를 호출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다. Axios에 대해서 알아보자.
최상위 컴포넌트에서 하단의 여러 컴포넌트로 props를 전달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Context API로 해결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