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개념 -기기들이 리소스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 체계 >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 제공,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방법 제공, 네트워크 간의 최적의 통신 경로 결정, 목적지로 데이터 전송, 노드 사
개념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개념적 프레임워크 PC, 서버 및 프린터 = Endhost 이더넷 케이블로 연결 -이더넷 케이블 UTP, FTP, STP 1) UTP (unshielded twisted pair cable)
1\. 거시적 관점1) 토폴로지 구조: 노드(node, 정점)와 간선(edge, 링크)으로 이루어진 구조1-1) 종류(1) 가장자리에 위치한 노드= 호스트(2) 중간에 위치한 노드= 네트워크 장비(3) 노드 간 연결하는 링크= 통신 매체(4) 노드 간 주고받는 정보=
미시적으로 살펴보는 네트워크\-두대의 컴퓨터가 정보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일1\. 프로토콜(protocol)1) 정의노드 간 정보를 올바르게 주고받기 위해 합의된 규칙이나 방법2) 특징\-통신 과정에서 일반적으로 여러 프로토콜 함께 사용\-목적과 특징이 다를 수
각 레이어에 맞게 프로토콜이 세분화돼서 구현 각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하위 레이어의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기능 사용하여 동작 L7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 제공 -HTTP (웹), DNS (도메인>IP), SMTP (이
데이터를 상위 혹은 하위 계층으로 보낼 때, ‘캡슐화’, ‘역캡슐화’ 과정을 거침‘캡슐화’ (Encapsulation)> 헤더를 붙여나가는 것‘역캡슐화’ (Decapsulation)> 헤더를 제거하는 것‘헤더’ > 데이터를 캡슐화 할 때 데이터 앞에 덧붙여지는 부가정보
TCP : 전송 제어 프로토콜IP : 인터넷 프로토콜=> 여러 프로토콜로 구성된 프로토콜 스택프로토콜 \-컴퓨터 네트워킹에 있어서 행동 및 소통 방식을 뜻함TCP/IP 오늘날 컴퓨터 운영에 사용되는 주요 프로토콜 스택= 생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에 실제로
OSI 7 > 5,6,7 계층 의미네트워크 엔지니어 \_ 일반적으로 해당 계층을 직접 다루지 않음7\. 응용 계층종단 유저의 앱에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다른 계층과 달리, 다른 OSI 계층에는 서비스 제공 X의도한 통신 파트너(=이 호스트가 통신하고 있는 호스트)의 가용
4\. 전송 계층이 계층의 주요 특성 : TCP/UDP 전송 사용 여부와 포트 번호섹션에서 자세하게 다룰 예정두 호스트 간 통신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 TCP음성 또는 영상과 같이, 트래픽의 속도가 안정성보다 중요한 경우 -> UDP 포트 번호 , HTTP (80
<개념>호스트 간에 데이터를 투명하게 전송,종단 시스템 간의 오류 복구와 흐름 제어 담당<흐름 제어>수신 호스트가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수 있도록발신자가 데이터 흐름을 조정하는 과정<세션 다중화>호스트가 동시에 여러 세션을 지원하고단일 링크에서 개별 트
패킷을 네트워크 상의 목적지로 라우팅하는 역할\+서비스 품질 담당(Qos) Qos = Quality of service 트래픽에 맞는 속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ex) 통신사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과금)트래픽을 관리하여 패킷 손실을 줄이고 지연 방지트래픽의 우선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