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을 네트워크 상의 목적지로 라우팅하는 역할
+서비스 품질 담당(Qos)
트래픽에 맞는 속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
**특정 데이터와 트래픽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면 가장 중요한 앱과 서비스가 최적으로 실행되는 데 필요한 대역폭 확보 가능**ex) 통신사 (네트워크 속도에 따라 과금)
트래픽을 관리하여 패킷 손실을 줄이고 지연 방지
주로 전송 계층 사용자가 요청하므로
전송 계층 연결을 설정할 때
필요한 서비스의 정도를 매개변수로 표시
트래픽의 우선 순위를 지정하고
리소스를 할당하며
데이터 패킷이 적시에 전달되도록 사용
연결 품질과 성능을 결정하기 때문에 중요
-파일 전송과 같은 수동 데이터보다 더 많은 우선 순위를 필요로 하며
매개변수를 처리하여 더 나은 서비스 제공
매개변수
(1) Reliability (신뢰성)
패킷 또는 승인이 손실된 경우
재전송해야 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네트워크 패킷 필요
⇒ 각 패킷의 전달을 보장하는 것
(2) Delay (지연)
지연 패킷이 Source에서 Destination까지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
(3) Jitter (지터)
(4) Bandwidth (대역폭)
특정 응용 프로그램에 적합한 대역폭 필요,
ex_ 화상 회의는 초당 수백만 비트를 전송해야 함
ex) 라우터를 사용해서 통과하는 트래픽에 Qos 정책을 적용하도록 라우터 구성
<인터넷에서 Qos>
데이터의 도착 순서나 데이터의 100% 수신 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에
**버퍼를 사용해 이 문제를 해결한 후, 응용 계층으로 데이터 전달**
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약간의 시간을 미리 확보해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하는 작업 선행
Qos에서 전송 데이터를 특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
ex) 실시간 데이터 > 전송 오류 문제 상대적으로 관대
IP 프로토콜에서 Qos를 지원하려면
각 패킷을 서로 다른 Qos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하고,
라우터에서 이를 처리해야 함
또 사용하는 대역의 요구 조건에 따라 패킷을 구분하고,
네트워크 자원의 할당도 그에 부합해야 함
⇒ 연결을 가진 프로토콜,
⇒ 3계층에서는 응답 X,
4계층에서 TCP 및 응답을 사용하거나
상위 계층에 내장하여 안정적인 트래픽 유지
IP 주소 지정 : 논리적 주소 지정의 체계
ex) 네트워크 설계자는 IP 주소 지정을 사용해
전체 네트워크를 보통 서브넷이라 불리는 더 작은 하위 네트워크로 분할
다양한 서브넷으로 분할되면 성능과 보안 향상
(Type of service) 서비스 바이트 유형
서비스 품질 정보
패킷에 표시를 입력해, 어떤 트래픽인지 지정할 수 있으며,
나중에 라우터에서 이 표시를 기반으로 조치를 취해 더 나은 서비스 제공
(16-bit total length) 패킷의 총 길이 = 16비트
(8-bit time to live [TTL])
라우터는 TTL 필드를 하나씩 감소시킴,
TTL 필드가 0이 되면 라우터는 패킷 삭제.
⇒ 라우팅 루프를 방지하기 위함
⇒ 루프로 네트워크에 방대한 트래픽이 축적되어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방지해줌
(32-bit source IP address)
패킷의 출처를 지정하는 IP 주소와
(32-bit destination IP address)
패킷이 어디로 가는지 지정하는 목적지 IP 주소
(Header options)
추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헤더 옵션
IP 외
3계층 프로토콜에는 문제 해결을 위한 핑에 사용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인터넷 컨트롤 메시지 프로토콜)
IPSec (보안 암호화 통신용)
3계층 ⇒ IP 주소 (논리적 주소 지정 체계)
2계층 ⇒ MAC 주소 (평면 전역 주소 지정 체계)
=> IP 네트워크를 통해 세가지 주요 트래픽 유형
⇒ 단일 목적지 호스트로 이동
⇒ 서브넷의 모든 호스트로 이동
발신자가 수신자로 들어오는 트래픽의 복사본 하나를 보내게 되면
해당 네트워크 부분에 있는 다른 모든 호스트에게로 트래픽이 흘러 들어감
라우터는 네트워크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음,
라우터가 트래픽을 삭제해서 그 뒤로는 브로드캐스트 트래픽을 전달하지 않음
⇒ 하나의 복사본이 네트워크의 특정 부분 내 전체로 흘러들어감
⇒ 관심있는 다수의 호스트로 이동
하나의 사본을 여러 다양한 목적지로 보냄
unicast로 다수의 호스트에게 보낼 때
보내는 만큼 양이 증가하지만,
multicast로 다수의 호스트에게 보낼 때
하나의 사본을 통해 다양한 목적지로 보냄으로 양이 증가하지 않음
Ex) 라디오 방송 ,, 주파수를 맞추는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