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 개념적인 모델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방식을 특성화하고 표준화한 범용 프레임워크
물리적인 실제 프로토콜이나 기술 X
작업을 각 개별 계층에 관련된 특정 작업 그룹으로 나눔
한 계층은 그 위의 계층을 서브하고,
밑의 계층으로부터 서브를 받음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맞는 통신 방법 제공
-HTTP (웹), DNS (도메인>IP), SMTP (이메일), FTP (file)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에서 메시지 포맷 관리
-인코딩 <> 디코딩
-암호화 <> 복호화
-압축 <> 압축 풀기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에서 세션 관리
-RPC (remote procedure call)
---------> L 5,6,7 => 상위 계층
-애플리케이션 간의 통신 담당
-목적지 앱으로 데이터 전송
TCP/UDP (전송 방법) + port 번호
구성되어 있음
웹 트래픽 > 포트 번호 80, https > 443 , ssh > 22 , 이메일 > 25
-호스트 간의 통신 담당 (IP)
-목적지 호스트로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간의 최적의 경로 결정
=> 출발지와 목적지의 IP 주소
-직접 연결된 노드 간의 통신 담당
-MAC 주소 기반 통신 (ARP: IP > Mac)
=> 이 패킷은 회선을 통해 전송될 준비를 함
-bits 단위로 D 변환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포장시켜 다시 전달
각 계층 정보를 헤더에 담아 전달 (2계층 예외)
2계층 T : 전송 후에 에러가 없었는지 확인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헤더정보를 확인하며 정보가 동일할시
위 계층 순서로 패킷 처리
2계층 헤더인 외부 헤더를 보고
이 패킷이 이 계층에 해당되는지 확인,
목적지와 수신자의 MAC 주소 확인,
다르다면 패킷 버림
3계층의 헤더 확인,
목적지 IP 주소를 확인하고 이 패킷이 자신을 위한 것인지 확인,
아니라면 패킷 버림
4계층의 헤더 확인,
어디에서 진행되는 트래픽인지 확인하기 위해 포트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