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드(node, 정점)와 간선(edge, 링크)으로 이루어진 구조
실선 : 유선 연결
점선 : 무선 연결
호스트 역할에 따른 구분
1) client(클라이언트) : 요청
2) server(서버) : 요청에 대한 응답
개념
- 호스트 간 주고받을 정보가 거치는 중간 노드
종류
- 이더넷 허브, 스위치, 라우터, 공유기 등
무선 매체, 유선 매체
개념
- 통신 메체로 연결된 노드가 주고받는 정보
종류
- 웹 페이지, 파일, 메일 등
-가까운 지역을 연결한 근거리 통신망
-먼 지역을 연결하는 광역 통신망
-다른 LAN에 속한 호스트와 메시지를 주고받아야 할 경우 사용
예시 ) 인터넷
-사용자에게 인터넷과 같은 WAN에 연결 가능한 회선 임대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
-국내 : KT, LG유플러스, SK브로드밴드
호스트 간 메시지 주고받기 전 회선(circuit) 설정 후,
해당 회선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음
=> 점유방식
-호스트 사이에서 1:1 전송로 확보
연결 확보를 진행하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동안 전송되는 정보의 양이 비교적 일정
회선의 이용 효율이 낮아질 수 있음
-가능한 모든 회선에 끊임없이 메시지가 흐르고 있어야만 회선 이용 효율이 높아짐
-메시지를 주고받지 않으면 회선 점유하는 것은 낭비
-상황 설명
해당 경로를 점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호스트가 해당 경로를 사용하고 싶어도 사용할 수 없음
(대기+메시지 보내는 시간)
-실시간 데이터 : 전화
-메시지를 패킷 단위로 쪼개어 전송
-쪼개어 전송된 패킷들을 수신지에서 조립
-패킷의 송수신지를 식별, 패킷이 이동할 최적의 경로 결정
-router, switch 등
Header(헤더) : 송수신지를 특정하는 정보
ex_ IP 주소, MAC 주소
-1:1 방식으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경우
-네트워크 상 모든 호스트에게 전송
-broadcast domain : 브로드캐스트가 전송되는 범위
-네트워크 내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에게만 전송
-네트워크 내 동일 그룹에 속한 호스트 중 가장 가까운 호스트에게 전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