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요청/응답(request/response)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로, 주로 HTML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인다.프로토콜이란컴퓨터 내부, 또는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의 교환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체계웹 통신 프로토콜인 H
스타일에 객체를 넣으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일까?객체끼리 비교하면, 무조건 false가 나온다.리액트는 vulture dom으로 검사를 하면서 어디가 달라졌는지 찾다가 이전 버전과 현재 버전을 비교해 달라진 부분을 리렌더링 한다.즉, 변한 것이 없어도 객체끼리 비교하면
useCallback을 쓰는 이유가, 최적화를 위해서라는데 어떨때 써야하는가?그래야 최적화가 되기 때문이다.
스터디에서 좋은 사람들을 만나서, 프로젝트를 만들기로 했다.디자인과 백엔드를 담당해주시는 분이 한 분 있고, 프론트는 나까지 두 명이다. 이번에 스토리북을 써보기로 해서, 디자인이 나오기 전까지 스토리북과 리덕스를 대략적으로 공부를 해보고 있다.아직 디자인이 나오지 않
기존에 AuthForm이라는 컴포넌트에서 fetch API를 활용해서 초기 로직을 구현했었는데,일단 작동만 하게 코드를 짰더니, 너무 코드가 길어져서 리팩토링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store폴더에는 authStore라는 파일을 만들었고, 그 안에서 인증에 관한 상태
이미지가 다 로드되고 나면, 이미지를 감싸고 있는 컴포넌트의 컨텐츠의 높이를 구해야 했다. 구한 높이값은 다른 컴포넌트(Sidebar)에 props로 넘겨준다. 이 코드에서,Function declared in a loop contains unsafe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