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를 공부하는데, pug를 템플릿 엔진으로 사용중이다. 문자열 중간에 변수를 넣고 싶어서 해결법을 찾아보고 기록하게 되었다
Node.js 강의를 듣는 도중 socket hang up 오류가 났다. nodemon의 ignore 옵션을 통해 해결한 과정을 기록했다.
내 폰의 다크모드가 적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Expo Go를 통해 열려있는 개발중인 앱에는 다크모드 인식을 못하는 것을 보았다. app.json에서 따로 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았고, 이 문제를 해결한 내용을 기록하려 한다.
GCP의 인스턴스에서 ssh로 접속 후 폰트를 설치해도, docker container에 폰트를 설치해도 적용이 되지 않았다. 수많은 삽질을 통해 찾은 방법을 기록하려 한다.
군대에서는 사지방에서 터미널을 열 수가 없거나 권한이 제한되어있어 개발을 할 수가 없었다. React Native를 공부하고 있는데, expo snack은 네이티브 파일들에 접근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 때 찾은 것이 GCP와 code-server다.
운영체제는 프로세스 제어 블록(PCB)을 이용해서 프로세스들을 관리한다. PCB는 메모리에 존재하며 상태에 따라 Ready 큐 또는 Event 큐(대기큐)에서 관리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프로세스 큐와 Swap에 대해 알아본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 프로세스 추적 - Trace of Process 프로세스에 대해 실행되는 명령 순서 💡 Dispatcher > 프로세서(CPU)를 한 프로세스에서 다른 프로세스로 전환하는 역할
간단하게 개념을 정리해보자 Processor : CPU + 제어장치 Program : 디스크에 있는 프로그램 파일 Process : 메모리에 있는 실행중인 프로그램 이번 포스트에서는 Process 개념, 생성, 종료, 추적에 대해 알아본다
WSL2 환경에서 nodejs를 이용한 웹 개발을 공부해보려 한다. 특히 리눅스 환경에서는 n이라는 도구를 통해서 쉽게 nodejs 버전을 관리할 수 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WSL 환경에서 nodejs, npm, n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공공데이터는 데이터 자체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AP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서버에서 얻어올 수 있다. PHP의 cURL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API 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게시판의 글이 계속 생성되면, 스크롤이 끝없이 내려갈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한 페이지에 표시할 글의 개수를 정하여 일정 간격으로 페이지를 만드려고 한다.
이미 존재하는 파일에 대하여 require_once를 사용했는데,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에러가 발생했다. $_SERVER['DOCUMENT_ROOT']를 이용해 절대경로를 사용하여 해결했다.
PHP를 이용한 게시판에서 페이징을 구현하려 했다. if문과 isset()을 사용해서 $page 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코드였다. 해당 구문을 ?? 연산자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알림이 떴다. 이것에 대해 알아보겠다.
PHP를 이용한 게시판을 만들고있다. 조회수를 증가시킬 때, 일정 시간 이내에 다시 글을 읽게 되면 조회수가 증가하지 않게 구현하려 했다. 그래서, 보안상 중요하지 않은 쿠키를 사용하여 해당 기능을 구현하려 한다.
`JavaScript - Fetch API`와 `PHP - header()`를 이용하여 `CORS`와 `SESSION`을 이용한 문제를 해결해보도록 하겠다.
페이지 전체가 갱신되는 것이 아니라 Ajax를 이용하여 PHP와 JavaScript 간의 통신으로 버튼을 누르면 해당 input태그에서 중복 확인이 가능하도록 했다.
로그인 페이지나 INDEX 페이지로 `REDIRECT` 시키려고 하는데, 중간에 header()문이 있더라도 게시글 삭제가 진행되었다. 발생한 문제는 `header()` 뒤에 바로 `exit()`를 호출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했다.
웹에서 게시판을 만들어보게 되면서 DataBase를 접하게 되었다. 각 주제에 따라 테이블을 나누어 작성한 후, 정보를 가져오는 경우 테이블을 합치는 경우가 있었다. 이때 JOIN을 사용하게 되는데, 그 중 많이 사용하는 것이 LEFT JOIN과 INNER JOIN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