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PROCESS
워터폴 방식의 프로세스 |
분석 → 설계 → 구현 → 검수 → 종료
검정색 아웃라인 ⇨ PM이 하는 일
분석 & 설계를 심도있게 해야 차후 일 진행 수월

- 해당 단계가 끝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없음 ⇨ 워터폴 방식
- 단계별 산출물도 기본적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해당 산출물을 어느 정도 작업해야만 넘어갈 수 있음
- 큰 프로젝트에서 전체적으로 검수하고 종료할 때 다시 한 번 최종 검수 하고 현행화 작업
0단계 : 프로젝트 계획
업무 분석
인력 구성
환경 셋팅
프로세스 정의
산출물 정의
일정 산정
- 해당 단계의 업무는 우리가 할 일은 아님.
-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총괄 매니저 PM, PMO, 리더들이 함.
'업무 분석'
⇨ 업무량 인력 분석, 논의
‘환경 세팅’
⇨ 개발환경에 대한 세팅
‘산출물’
⇨ 회의록은 비공식 산출물, BUT 공식적으로 이슈될 수 있음
하늘색 ⇨ 기획자가 확인해야 할 일

- 비용, 목적, RFP, 제안 PT, 업체 선정 등
- 제안서 내용과 실제 구축할 내용은 동일
- PM 등을 제외한 프로젝트 진행에 지장이 없는 나머지 구성원들은 교체 가능
⇨ 실투입인력 계획
'메인 시안용 기획'
⇨ 하단 탭 바에 들어가는 메뉴, 카테고리, 메인 비주얼 등 구성
프로젝트 계획 - 산출물
실투입 인력 계획

- man/month(mm): 한 달에 몇 명이 들어가는 지
ex) 1 man/month = 1달에 1명
- TBD : 앞으로 이 인력 넣을 거야 근데 정해지지 않음!
- Task : 모듈명
산출물 정의

- 산출물 만들 때, 문서 번호 등의 문서 규칙을 정하고 받아들이고,
작업을 할 때 작업 규칙들에 맞춰서 작업하는 것이 중요 ⇨ 정리정돈의 시작
WBS(Work Breakdown Structure) like 일정표

1단계 : 프로젝트 분석 [🔥 가장 중요 🔥]
환경 분석
요건 분석
콘텐츠 분석
정책 정의
가이드 정의
시스템 분석
'요건 분석'
⇨ 실무 담당자에 맞게 요건 분석, 근거 중요
'정책 정의
⇨ 콘텐츠에 대한 정책 정의, 프로젝트 진행 중 변경 가능, 파이널 버전 아님
'산출물 정의
⇨ 산출물에 대한 가이드 정의
하늘색 ⇨ PM이 중점적으로 할 일

프로젝트 분석 - 산출물
커머스 사이트 분석 산출물

- 벤치마킹을 하고 써머리 반드시 작성
- 표 & 그래프를 확인해서 가독성 증가하도록 글 X
- 본인이 분석한 인사이트를 명확하게 상대방에게 전달 => 결론 먼저
⇨ 처음엔 표로 일목요연하게 정리 !!!!!!!!!!!! 그 뒤 화면, 설명
2단계 : 프로젝트 설계 [🔥 가장 중요 🔥]
Information Architecture
기능 정의
서비스 프로세스
와이어프레임
스토리보드 완성
시스템 분석
- 분석단계에 했던 것이 무조건 설계 단계로 이어져 오는 것이 아니라
분석 단계에서 충분히 분석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 설정하고 업무 범위를 어느 정도 정의했다면 그것을 기반으로 설계를 한다!
⇨ 현실적으로 구현했더니 분석 단계와 조금 달라질 수 있음 이로 인해 서비스 정의, 서비스 프로세스 등 조금씩 변경될 수 있다
⇨ 분석 단계에서 충분히 분석해서 나온 인사이트들이 바탕이 되어 설계를 하지만, 100%로 분석되어 그것을 기반으로 설계를 그대로 하는 건 아니다!
⇨ 와이어프레임이 포함된 실제 스토리보드는 개발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분석을 하면서 방향을 잡는 시간이 굉장히 중요
⇨ 재촉의 흔들리지말고 스토리보드 안에 넣어야 하는 분석 단계의 정책과 요구사항에 대한 정의를 잘 녹여내는 것 중요

- 'IA 별 업무 배분'
⇨ 회원가입, 로그인은 ㅇㅇㅇ, 메인과 공통은 ㅅㅅㅅ이 가져가도록
- '요구사항 정의'
⇨ 설계 단계에서 추가/변경 부분은 문서화해서 업데이트!
프로젝트 설계 - 산출물 리뷰

- 깊이가 너무 깊으면 안됨 ⇨ 네비게이션 측면에서 좋지 않음
- 레벨별 접근 권한
- PC, Mobile
- Comment는 상세하게
3단계 : 프로젝트 구현
디자인
퍼블리싱
시스템 개발
스토리보드 리뷰
스토리보드 현행화
단위 테스트
- 개발자가 개발 진행하면서 기획자에게 스토리보드 리뷰 요청
- 관계자, 협업자들과 스토리보드 리뷰하면서 스토리보드 현행화, 고도화, 구체화
- 디자인, 퍼블리싱, 개발 구현 검수 진행

- 문서를 오픈하여 협업하는 협업자들과 공유하면서 리뷰해야 함
프로젝트 구현 - 산출물 리뷰
단위/통합 테스트

4단계 : 프로젝트 검수
검수 및 스토리보드 고도화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 테스트에 따라 오픈/배포/릴리즈 여부 결정

5단계 : 프로젝트 종료
문서 최신화
운영 메뉴얼
인수인계 준비
안정화 준비
- 하자 보수

- 문서 최신화 작업
⇨ 서비스/프로젝트를 오픈한 시점에 맞춰진 문서인 지 중요!
프로젝트 안정화

프로젝트 기획자의 산출물

- 오픈 시점과 산출물이 싱크가 맞는 것이 중요!
- 추후 증빙 자료로 사용
- 스토리보드(커뮤니케이션 문서)의 질이 중요!
⇨ 스토리보드의 정책과 프로세스와 기능과 정책이 어떻게 정의되어 있는 가
- 스토리보드의 정책과 프로세스와 기능이 잘 정의된 후 와이어 프레임 작업
- 분석 : 서비스 기획자가 업무 주체
- 설계 : IA 별도 작업, 나버지 스토리보드에 포함하여 작성
- 검수 : 시나리오 기획자가 작업, 규모에 따라 QA팀이 작성
🐣 학습일지

알면 알수록 재밌는 PM 공부이지만, 정말 작성해야 되는 기획서가 너무너무 많다,, 지금이야 이론적으로 배우기에 이해하고 넘어가지만 실제로 내가 해당 산출물을 작업하게 된다면 어떻게 될까? 혹시 실수하게 되진 않을 지 걱정이다,, 내가 리더이니 책임이 좀 더 막중하달까,,? 그래도 내가 프로젝트를 지휘할 수 있다는 건 정말 재밌는 일일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