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베이스 PM스쿨 18기 학습일지 #03] Ch 03.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강지영·2023년 9월 14일
0

PM 학습 일지

목록 보기
3/26

🙂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

프로덕트 성공을 위해 필요한 스킬셋

  1.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2. 비지니스 및 사업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
  3.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형성하고, 리드할 수 있는 능력

서비스 기획 실무를 위해 필요한 스킬셋

  1. IT서비스 개발 업무를 협업하기 위한 도메인 지식
  2.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능력
  3. 데이터를 이용해서 결과치를 뽑아내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모든 업무의 기본

  • 논리적 사고와 커뮤니케이션 능력

사용자와 제품에 대한 이해

😓 실패 사례 > RCS 채팅플러스

카카오톡을 견제하기 위해 이동 통신사 3사에서 출시한 문자 서비스

  • 실패 사유
    - 최신 운영체제에서만 사용 가능
    - 동일 통신사로만 제공(최근엔 확대중)
    - 아이폰에서 불가능

❗카카오톡에 익숙해진 고객에게 카카오톡을 버리고 해당 서비스를 꼭 사용해야할 특별한 이유가 없음

💡복잡성 보존의 법칙
어떠한 일을 수행할 때 더 이상 줄일 수 없는 필수적인 복잡성이 존재.
사용함에 있어서 복잡함을 누가 부담하느냐의 문제이다.

😀 성공 사례 >
토스의 송금 예약하기

  • 어려운 금융에 대한 쉽고 편한 UI/UX 제공
  • 은행 점검 시간에 송금할 수 없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은행 점검이 끝나면 예약 송금이 되도록함

마켓컬리의 새벽배송

  • 빨리가 아닌, '내가 집에 있는 시간', '예측 가능한 시간'에 배송

모두가 당연하다는 것이 사실은 당연하지 않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고 사용자와 제품 그리고 해당 제품을 이루는 시스템에 대한 깊은 이해와 고찰이 더 좋은 기획자로 만드는 스킬셋이다!


비지니스 및 사업 모델에 대한 깊은 이해

🥕 당근마켓

  • 초창기 모델 판교장터에서 당근마켓으로 발전
  • 같은 동네 사람 or 비슷한 업계 사람이라는 신뢰성은 서비스의 로얄티를 높여줌

💡 플라이휠 효과(성장을 만드는 선순환의 수레바퀴)
고객과 비즈니스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활동이 끝맺음 없이 계속 반복함으로써
점점 성장의 크기가 커지고, 속도가 빨라지는 일종의 '성장 엔진'을 의미

🫡 기획자의 사명

  • 생각하고 있던 비즈니스 모델 외에도 더 넓게 사고하는 법과
    융합이라는 관점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더 생각 할 수 있는 법이 필요함
  • 직접 비지니스 모델 설계 및 성공을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다양한 케이스에서 하나씩 배우면서 경험치를 쌓아 더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진 서비스를 기획해야 함

동료들로부터 신뢰를 형성하고, 리드할 수 있는 능력

기획자는 어떤 업무이든 방향성을 설정하고 업무를 진행하기로 했다면 같이 일하는 프로덕트 팀들이 이해할 수 있게 하면서도 방향성에 대한 신뢰와 동기부여를 주는 것이 중요하다.

  • Radical Transparency 극도의 투명함
  • Radical Honesty 극도의 솔직함
  • Radical collaboration 극도의 협업

IT서비스 개발 업무를 협업하기 위한 도메인 지식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 private API
    - 내부 API
    - 회사 개발자가 자체 제품과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발행
    => 제 3자 노출 X
  • partner API
    - 기업이 데이터 공유에 동의하는 특정인들만 사용할 수 있음
    • 비지니스 관계에서 사용
  • public API
    - 개방형 API
    - 누구나 제한없이 사용 가능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능력

📌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아이디어 도출 능력
내가 맡은 서비스 or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과 그 산업의 고객의 속성, 우리 서비스의 본질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또한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근거 데이터이 필요하다.

위대한 아이디어는 또 다른 생태계를 만들게 되기도 한다.
아이디어는 하나의 번뜩이는 재치가 아닌 집념을 가지고 사고하고 데이터를 통해서 검증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이용해서 결과치를 뽑아내고 분석할 수 있는 능력

시장 진입 전, 해당 시장에 대한 분석을 하여 어떤 시장은 먼저 진입할 지 분석하는 능력 또한 중요하지만 다음과 같은 사항도 중요하다.

✌🏻 기획자가 중요하게 봐야 하는 데이터 2가지

01. 컨버젼 레이트(CVR)

고객이 서비스에 들어오면서부터 우리가 원하는 행동으로 하나씩 전환하는 비율
주로 구매전환율, 회원가입전환율, 특정 행동 전환율 등을 본다.
- ex) A/B 테스트(오바마 전 대통령 대선 캠프)

02. 코호트 리텐션(Cohort Retention)

동일 기간에 특정 이벤트를 함께 경험한 동일군의 유저 또는 특정 행동, 성별 등의 특징으로 고객군을 나누어 그 고객군에 따른 서비스에 다시 들어오는 비율을 추적하는 것
다양한 트랙킹 툴을 통해서 고객군을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해당 특정 기간에 어떠한 이벤트가 있었는 지 어떤 이벤트가 고객 재방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 판단해 이에 따라 서비스 기획의 방향을 잡을 수 있다.


논리적 사고(MECE)와 커뮤니케이션 능력

🧐 MECE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서로 중복되지 않으면서 전체적으로 누락이 없도록 한다.
전체 집합 내의 모든 항목들을 빠뜨리지 않고 또한 어떤 항목도 두 개의 집합 내에 들어가지 않는 분류 상태
즉, MECE는 어떻게 정보를 담을 지에 대한 기준 즉 그룹을 만드는 방법을 만드는 것이다.

MECE적 사고로 정리하고 공유했을 때의 장점

  • 명료함(이해관계자들이 이해하기 쉬워짐)
  • 꼼꼼하게 고려 가능(가장 합리적이고 변수가 적은 정책 기획 가능)
  • 설득력 향상(논리적)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기획자의 커뮤니케이션은 회의를 통한 구두 커뮤니케이션
회의 결과와 의사결정 내용 및 정책을 정의한 문서 커뮤니케이션

구두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것은 두괄식으로 말하기
문서 커뮤니케이션은 아래의 글쓰기 원칙을 참고하자!


🐣 오늘자 일기

서비스 기획자에게 꼭 필요한 스킬셋은 왜 이렇게 많을까...
서비스를 기획할 때 고려해야 될 사항들은 생각보다 더 섬세하게 나뉘어져 있구나...
기획자는 이해관계자들에게 "WHY"라는 답을 명료하게 해줘야 하는 역할이라 서비스를 기획함에 있어서 더 책임감을 가져야 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전에 아는 개발자 언니가 자기네 회사 신입 PM이 자꾸 기획을 바꾸는 바람에 개발한 다수의 것들이 엎어져 다시 코드를 짜야한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다. 이렇게 되어버리면 배포일정부터 시작해 전체 일정에 영향이 생기게 되니 내가 PM이 된다면 이런 일은 꼭 발생하지 않도록 MECE 논리적 사고를 꼭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