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e? Cookie를 관리하는 객체 만들기 위해 Cookie API를 학습하게 되었다. Cookie를 파싱하기 위해선, Cookie의 특성을 알아야한다. > cookie는 Client에 저장되는 key=value; 형태의 string이다. 인상착의 Cookie는 아래와 같이 생겼다. name=value; cookie의 이름과 값이며, 반드시 요구되는 field이다. expires=date; 쿠키의 만료일자이다. 이 날짜가 지나면 쿠키는 자동으로 삭제되며, 따로 날짜를 지정하지 않는다면, 쿠키의 세션이 끝날 때(브라우저를 닫을 때) cookie가 삭제된다! path=path; cookie가 유효한 Route를 의미한다. 이전에 블로그 글로 정리해두었으니 확인해보자! domain=domain; 해당 쿠키가 유효한 도메인을 의미한다! 네이버에서
Cookie path? 전역적으로 사용하는 커스텀 axios 객체의 인터셉터에, BE에서 던져주는 token을 저장하는 로직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있다. 여기서 path란 무엇일까? --- Cookie가 유효한 범위 path를 /로 적용하였다면 /의 하위 route는 전부 해당 Cookie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이제부터 이 토큰이 저장되어있는 Cookie 객체는 /user의 하위 route에서만 유효하다. 또한, 해당 Cookie를 삭제하는 경우에도 path를 명시해주어야 한다. --- Cookie 삭제에서 path를 명시하자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Token이 expired 상태라면 status code 1002(STATUS_CODES.ERROR.EXP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