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리즈는 필자가 2023년 6월 6일 ~ 6월 21일까지 총 16일간 국토대장정을 하면서 남긴 기록을 옮긴 포스트입니다.
이 날은 19km 정도의 짧은 거리 + 오후의 비 소식 + 대전 사는 친구를 오후에 만나기로 해서 내용이 별로 없다.
어제 묵은 숙소 옆 낚시터의 모습.
낚시하는 사람들이 자주 이곳에서 낚시를 하고 내가 잤던 숙소에서 주무시는 모양이다.
공주에서 걸은 길의 거의 절반은 23번 국도인데, 오늘도 한 7~8km 정도 걸었다.
23번 국도를 탈출하고 나온 김에 기분 좋게 한 컷.
마을 이름이 재밌다. 요룡리마을이란다.
예쁜 숲길이 있어서 가보고 싶었지만 목적지랑 정반대로 가는 길이었다.
오늘도 참 더워서 저 그늘로 걷고 싶었는데 쉽지 않았다.
이 날 경황이 없어서 사진을 못 찍었는데 오전 10시 30분쯤 물이 떨어져서 탈진 직전까지 갔었다. (필자는 평소에도 물을 하루에 2L씩 마신다.)
물동냥하러 근처 식당에 갔더니 사장님이 아예 식당용 큰 물통에 얼음 꽉 채워서 가져가라고 주셨다.
마음은 너무 감사하지만 짐이 무거워지는 게 겁나기도해서 갖고 있던 물통에 얼음물을 옮겨담았다.
그냥 정수기 물만 받아갈 생각이었는데 너무도 감사했다.
요즘 안 좋은 뉴스가 계속 들리는데 그래도 국토대장정을 하면서 아직 세상 살만하다는 것을 몸소 체감했다.
공주 시내로 향하는 길에 있는 생태공원. 이 길만 따라가면 시내에 들어선다.
생태공원이라고 해서 뭐가 있나 보려고 했더니 연잎밖에 안 보였다.
저번에 공주 들어서자마자 먹은 음식도 연잎이 들어갔는데, 공주가 연꽃이 유명한가보다.
이쯤에서 친구를 만나서 아직 1km 정도 남았지만 같이 차를 타고 공주 시내로 들어섰다.
사실 시내까지는 걸어서 가려고 했는데 오전에 끝내야한다는 생각에 오버페이스를 했는지 오른쪽 아킬레스건 통증이 너무 심해서 어쩔 수 없었다.
점심은 짜장면. 맛이 없을 수가 없었다.
공주는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도시라고 한다.
경상도에 경주가 있다면 충청도에는 공주가 있는 느낌이라고 해야하나.
경주에는 신라의 문화재가 많다면 공주에는 백제 시대의 문화재들이 되게 많았다.
그래서 그런지 건물들도 한옥 양식으로 지어진 게 많았다.
위 사진은 공주사범대 부설고등학교, 중학교의 정문이다.
심지어 세븐일레븐도 한옥처럼 되어있다.
이렇게 대충 시내 구경을 하고 오후엔 오랜만에 만난 친구랑 고기먹고 쭉 쉬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