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차 자료구조의 개념 > + ### 구현할 자료들을 논리적 순서로 메모리에 연속 저장하는 구현 방식 > + ### 논리적인 순서와 물리적인 순서가 항상 일치해야 함 > + ### 순차 자료구조 = 배열 순차 자료구조와 연결 자료구조의 비교 | 구분 | 순차 자료구조
int isStackEmpty() { if (top == -1) { return 1; } else { return 0; }}int isStackFull() { if (top == STACK_SIZE) { return 1; } else { return 0; }}v
큐 (Queue) > + ### 스택과 비슷한 삽입과 삭제의 위치가 제한되어 있는 유한 순서 리스트 > + ### 큐는 뒤에서는 삽입만 하고, 앞에서는 삭제만 할 수 있는 구조 >> + ### 삽입한 순서대로 원소가 나열되어 가장 먼저 삽입(First-In)한 원소는
트리 > + ### 원소들 간에 1:n 관계를 가지는 비선형 자료구조 > + ### 원소들 간에 계층관계를 가지는 계층형 자료구조 > + ### 상위 원소에서 하위 원소로 내려가면서 확장되는 트리(나무)모양의 구조 트리의 구성요소 > > + ### 노드node – 트
이진 트리 순회 > + ### 이진 트리가 순환적으로 정의되어 구성되어있으므로, 순회 작업도 서브 트리에 대해서 순환적으로 반복하여 완성한다. > + ### 왼쪽 서브 트리에 대한 순회를 오른쪽 서브 트리보다 먼저 수행한다. > + ### 순회의 종류 >> + ### 전위 순회 >> + ### 중위 순회 >> + ### 후위 순회 > + ## 전위 순회 (...
typedef char data;typedef struct \_Node { char key; struct \_Node left; struct \_Node right;}Node;Node searchBST(Node root, char x) { Node\* p = NULL;
힙의 개념 > + ### 완전 이진 트리에 있는 노드 중에서 키값이 가장 큰 노드나 키값이 가장 작은 노드를 찾기 위해서 만든 자료구조 > + ## 최대 힙max heap >> + ### 키값이 가장 큰 노드를 찾기 위한 완전 이진 트리 >> + ### {부모 노드의 키값 ≥ 자식 노드의 키값} >> + ### 루트 노드 : 키값이 가장 큰 노드 > + #...
그래프 > + ### 연결되어 있는 원소 사이의 다:다 관계를 표현하는 자료구조 > + ### 그래프 G >> + ### 객체를 나타내는 정점(vertex)과 객체를 연결하는 간선(edge)의 집합 >> + ### G = (V, E) >>> + ### - V는 그래프에
정렬 (Sort) > + ### 순서 없이 배열된 자료를 작은 것부터 큰 것 순서인 오름차순이나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인 내림차순으로 재배열하는 것 > + ### 키(key): 자료를 정렬하는데 사용하는 기준이 되는 특정 값 > + ### 정렬 방식의 분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