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의 의미와 물리 서버, 논리 서버의 차이점에 대해 살펴본다.
집약형 및 분할형 아키텍처 등 다양한 인프라 아키텍처의 종류들을 정리한다.
물리 서버의 규격과 내부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CPU, 메모리, 레지스터, 캐시, 메모리 인터리빙에 대해 살펴본다.
디스크,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하는 I/O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서버 내부에 있는 컴포넌트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회선을 의미하는 '버스'와 버스에서 중요한 '대역'에 대해 살펴본다.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해 살펴본다.
OS 커널과 커널의 6가지 역할에 대해 살펴본다.
클라이언트 PC에서 요청을 발행하여 웹 서버-AP 서버-DB 서버를 거쳐 다시 클라이언트 PC로 결과를 발행하는 웹 데이터 흐름에 대해 살펴본다.
가상화 기술인 OS, 가상머신, 컨테이너, 도커에 대해 살펴본다.
직렬, 병렬 개념과 장단점, 사용되는 곳에 대해 살펴본다.
동기 및 비동기 개념과 사용되는 곳에 대해 살펴본다.
큐(Queue)의 개념과 사용되는 곳, 런큐, 메시지 큐에 대해 살펴본다.
배타적 제어의 개념과 특징, 장단점, 사용되는 곳에 대해 살펴본다.
Stateful과 Stateless의 개념, 특징, 장단점, 사용되는 곳에 대해 살펴본다.
고정 길이와 가변 길이의 특징과 장단점, 사용되는 곳에 대해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