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저장/상태 비저장 (Stateful/Stateless)

주영·2023년 9월 5일
0

IT Infra

목록 보기
15/16
post-thumbnail

Stateful / Stateless

Stateful / Stateless 사용되는 곳

1. 컴퓨터 내부 구조 - CPU의 프로세스 처리 = Stateful 방식

  • 거의 모든 곳에서 상태 저장 사용
  • CPU는 하나의 CPU에서 복수의 프로세스 처리. 상태 저장 필요

* 프로세스 상태 전이

2. 네트워크 통신 구조 - HTTP 프로토콜 = Stateless 방식

  • 상태가 없기 때문에 매번 같은 데이터 반환 (동일 요청에 동일 데이터 반환)
  • 상태 저장이 필요한 경우 '세션(Session)' 사용
    ex) 로그인 : 인증 완료 세션 정보를 서버에 건네기만 하면 이전 처리 상태를 유지하며 접속 가능

출처 : 야마자키 야스시 외 3,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제이펍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