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 서버 내부에 있는 컴포넌트들을 서로 연결시키는 회선
- 버스에서 중요한 것 : 버스의 데이터 전송 능력. 즉, 대역
대역
= Throughput, 스루풋, 처리량
- 데이터 전송 능력
- 대역 = (한 번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데이터의 폭(전송폭)) X (1초에 전송할 수 있는 횟수(전송횟수))
(대역 = 전송폭 X 전송횟수)
- 전송횟수 = 1초 ÷ 1 처리당 소요 시간(응답시간)
- ex) PCI Express 3.0 : 1회선당 2GB/s (편방향 1GB/s) 전송 가능 프로토콜
x8은 8회선(=8배), x16은 16회선(=16배)의 전송 능력
대역 = 전송폭(3개) X 전송횟수(3회)
= 대역 (9)개 / s
버스 대역
- CPU에 가까운 쪽이 버스 대역이 크다
- CPU간 대역 = 편방향 10.4GT/s (기가트랜스퍼/초) ~ 20.GB/s : 인터넷보다 170배 빠름
버스 흐름에서 중요한 것
- CPU와 장치 사이에 병목 현상이 없어야함
(병목 현상 (Bottleneck) : 데이터 전송이 어떤 이유로 막혀있는 상태)
HW 설계, 외부 장치와 연결 검토 시 고려사항
- 버스나 I/O 능력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
SSD의 연결규격
1) SATA (Serial ATA)
2) SAS (Serial Attached SCSI)
3) NVMe (NVM Express)
* 1 → 3 빠름
출처 : 야마자키 야스시 외 3, 「그림으로 공부하는 IT 인프라 구조」, 제이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