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학 독서록] 한

Jeong-Minju·2021년 7월 19일
1

독서

목록 보기
2/4

이게 인생으로서 매력이다. 이런 매력 속에서 죽을 때가 되면 아무에게도 폐 끼치지 않고 웃고 죽는 것이 현대의 한이다. 그것을 나는 그림 속에 담으려 한다. 그게 잘 안 될 때는 나는 판소리의 한에서 내 머릿속의 한을 끄집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 한(천경자) 본문

이 수필에서 많이 설명하는 부분은 "한"이다. 작가는 인생 속에 담겨있는 한을 많이 가지고 있었고 수필 내에서는 어머니의 한, 두꺼비의 한, 판소리의 한을 기술했고 자신의 그림에 이 한을 담고 싶어했다.

우리는 인생에서 한을 어떻게 생각할까? 그저 단순히 "하아... 죽고싶다..", "아이고..." 등 듣기만 해도 피곤해지는 한탄이라고 생각하고 있을까? 난 무언가 알 수는 없지만 한탄보다 더욱 응어리져있고 깊게 파여있지 않으며 옅게 퍼져있는 느낌이라 생각한다.

이 질문에 작가는 사는 동안 슬퍼도, 제아무리 한맺힌 일이 있어도 그걸 웃고 삼키는 것, 그럴 때 한이란 것이 생긴다고 답해준다.

작가는 남편을 일찍 잃어 재혼을 했었고 어린 여동생은 전쟁통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이러한 일들을 웃고 삼키며 한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러한 한을 자연에 곁들여 작품 속에 녹여냈다.

profile
RAG를 좋아하는 사람입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