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시메모리를 비워주는 방법은 간단합니다.crontab -ecrontab을 열어줍니다.특정한 시간에 또는 특정 시간 마다 어떤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해주고 싶을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cron입니다. cron은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작업을 수행하게 해주는 스케줄링 역할
1. 자동 모드 자동 모드 업데이트는 앱을 업데이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며 최종 사용자에게 가장 침습적인 환경이 가장 적습니다. 업데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다음에 앱을 다시 시작할 때 자동으로 다운로드되고 설치됩니다(최종 사용자 또는 OS에 의해 명시적으로)
테이블 생성시 CONSTRAINT 로 외래키를 연결해주어야함이미 자동으로 테이블이 생성되었거나, 생성한 상태라면 아래 쿼리문으로 수동으로 외래키 연결을 해주었다.정상적으로 연결 후 쿼리를 날리게되면 review.idx 와 연결되어있는 review_like.review_
최근 회사 일이 앱 런칭일정으로 인해 사이드 프로젝트에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 못하고있었습니다.현재 진행중인 사이드 프로젝트 "Flambus(플램버스)"는 내 근처 맛집을 탐험하며 아케이드 형식 게임 방식으로 맛집을 탐방하며, 맛집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 입니다대학생 디
구글링해서 나오는 설치방법들이 안되길래 찾아보니최신 AMI EC2로 세팅하면 설치 방법이 달라지는거 같다.이것도 모르고 3시간을 삽질했다..
안드로이드에서만 특정 스크린을 사용중 스크롤을 아래로 내렸을 경우에 앱이 죽어버리는 현상이 발생습니다.아무런 로그도 발생하지않고 앱이 죽어버려, 원인 파악이 힘들었는데 해당 화면에서는 일부 기능을 react-native-webview 를 사용한 webview로 기능을
> 모든 언어의 공부는 클론코딩부터 시작이다. 대학생 시절 노마드 코더나 유튜브에 돌아다니는 클론코딩을 했던 경험이 많았습니다. ReactNative 를 첫 시작하는 초보개발자분들이 있다면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의 사용법이나 ReactNative가 이런것이구나 하고 익
react-native-reanimated 에 올라온 이슈https://github.com/software-mansion/react-native-reanimated/issues/3959해결방법은 node_modules에 설치된 react-native-reani
📒 UseMemo,UseCallback 왜 써야하는가? "useMemo와 useCallback이 왜 필요한가?"를 먼저 생각해보겠습니다. 리액트 내장 훅인 이 두 함수가 우리에게 편리함을 제공해준다면, 분명히 필요성이 제시되었기 때문에 누군가 개발했다는 것을
회사 업무 중 실제 구현이 필요했던 요구사항은 아래 네이버캘린더의 기능처럼 하단 View영역을 제스쳐로 드래그해 올려, 내용을 크게 볼 수 있는 Drawer View 형태 였다.처음에는 간단한 라이브러리로 구현 할 수 있을꺼라고 쉽게 생각하여, 오픈 라이브러리를 사용
AWS Amazon Linux2 MariaDB 10.xJava jdk 11참고 레퍼런스mariaDB 외부 접속: https://ilimes.github.io/mariadb/post28gradle spring boot 배포하기https://velog.i
단순 테이블간 JOIN 하기메인 카테고리와 서브카테고리를 조인 한다 조건은 main_category_id와 sub_category_id 같은것 끼리
제출 했던 정답개선된 코드 itertools.combinations 는 순열을 구할 수 있음.순열이란 서로다른 N개에서 r개를 선택할때 순서를 고려하여 중복없이 뽑을 수 있음.리스트 1,3,5,6(1,3)(1,5)(1,6),(3,5),(3,6)...
DTO란 Data Transfer Object의 약자로, 계층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도메인 모델 대신 사용되는 객체이다. 이때, 계층이란 Presentation(View, Controller), Business(Service), Persistence(DAO, Repo
이 게시글은 apple m1 mac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mariaDB root 계정으로 접속아래 명령어로 Password를 설정합니다.다시 mariaDB 루트 계정으로 접속을 시도하고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해봅니다.여기까지 진행됐다면 성공인듯 하다..예전에 사용하던
Spring을 한번도 다뤄보지 않은 채로 환경설정을 한 것이라 정상적인 절차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아래 버전 및 세팅 환경을 작성하였으니 참고해주세요. :)세팅 환경IntelliJ 2021.3.3 Java 1.8 m1 chipapache-tomcat-8.5.84
로컬에 maven을 설치하지 않아도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해 mvnw 파일을 실행시켜 설치한다.를 실행하니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permission denied 많이 보던 녀석이다. 권한 문제인듯 하다. 단순하게 해당 파일에 쓰기 권한을 부여해보았다.권한을
에러 해결🔑 error Failed to build iOS project. We ran "xcodebuild" command but it exited with error code 65.https://positiveko-til.vercel.app/til/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