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DNS

쿠버네티스 DNS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쿠버네티스 안에서는 클러스터 안에서 사용하는 DNS를 설정할 수 있다. 그럼 파드 끼리 통신에서도 IP가 아닌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떤 클러스터에 적용한 템플릿에서 파드 사이 통신을 도메인으로 하도록

2023년 1월 20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그냥 해보자 #1 EFK 구축하기 -ElasticSearch 배포

Elastic Search , Fluentd , Kibana가 배포될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하자 네임스

2023년 1월 12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그냥 해보자] EFK 구축해보기 [준비단계]

일하다 보니 부서 내 어디선가 EFK를 쓴다는 말을 들었다.용어가 AWS의 컴포넌트들이랑 비슷해서 AWS에 있는 하나의 컴포넌트 겠거니 했는데 로그수집 및 모니터링에 유용한 툴 이라고 한다.쿠버네티스 환경에 MSA로 띄워져 있는 각각의 역할을 하는 서비스들,,, 지금은

2023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포워드 프록시 vs 리버스 프록시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에 대해 알아보자 프록시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중계 서버로서 통신을 대신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프록시는 서버의 역할을 대리하기도 하고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대리하기도 합니다. 이 차이로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를 나눌 수

2023년 1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쿠버네티스 노드란 무엇일까??

쿠버네티스에서 노드는 워커머신 또는 컨트롤 플레인을 말하며 클러스터에 따라 가상머신(VM)일수도 있고 물리 머신일 수 있다. 각 노드는 컨트롤 플레인에 의해 관리되며 이를 컨트롤 플레인 역할을 하는 노드를 마스터노드 라고 한다. 이에더해 마스터노드에 의해 관리되는 노드

2022년 12월 12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