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통신을 위해 요청을 주고받는 규칙을 IP(Internet Protocol)이라고 한다.클라이언트의 IP주소에서 서버의 IP주소로 데이터를 보내 인터넷 통신을 하게 된다. 데이터는 전달할 때, 패킷 단위로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를 IP가 하게 된다.패킷에는 출
https://www.google.com:443/search?q=hello&hl=ko①. 프로토콜(https)②. 호스트명(www.google.com)③. 포트 번호(443)④. 패스(/search)⑤. 쿼리 파라미터(q=hello&hl=ko)웹 브라우저는 D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할 수 있다.HTML, TEXT IMAGE, 음성, 영상, 파일JSON, XML(API)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전송 가능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를 사용TCP : HTTP/1.1, HTTP/2UDP : HTTP/
URI는 리소스만 식별리소스와 해당 리소스를 대상으로 하는 행위를 분리리소스 : 회원행위 : 조회/등록/삭제/변경리소스는 명사, 행위는 동사행위는 HTTP 메서드를 통해서 구분주요 메서드GET : 리소스 조회POST :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등록에 사용PUT : 리
정적 데이터 조회이미지, 정적 텍스트 문서동적 데이터 조회주로 검색, 게시판 목록에서 정렬 필터(검색어)HTML Form을 통한 데이터 전송회원 가입, 상품 주문, 데이터 변경HTTP API를 통한 데이터 전송 회원 가입, 상품 주문, 데이터 변경서버 to 서버, 앱
🖐️상태 코드 상태 코드란 클라이언트가 보낸 요청의 처리 상태를 응답에서 알려주는 기능이다. 1xx(informational)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 중 2xx(Successful) : 요청이 정상 처리됨 3xx(Redirection) : 요청을 완료하려면 추가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Ex. 메시지 바디의 내용, 메시지 바디의 크기, 압축, 인증, 요청 클라이언트, 서버 정보, 캐시 관리 정보표준 헤더가 너무 많음필요시 임의의 헤더 추가 가능메시지 본문(Message Body)은 엔티티 본문을 전달하는데 사용엔티티
캐시가 없을 때 GET으로 요청을 보내면 서버에서 이미지를 찾아 응답을 한다. HTTP 헤더와 HTTP 바디의 메모리만큼을 가지는 이미지를 클라이언트로 응답을 보내게 된다.클라이언트가 요청했던 이미지가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다.만약 캐시가 없는 상황에서 한 번 더 요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