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python.org/ 접속 및 다운로드 Window+R > cmd > python+enterWindows 검색을 통해 python 검색IDLE(Integrated Development and Learning Enviroment : 통합 개
userName이 겹치기 때문에 편의상 인덱스 활용(첫번째{}는 {0}, 두번째{}는 {1}이기 때문에 세번째{}에 0을 넣어줌)(첫번째{}에 1, 두번째{}에 0을 넣는다면 순서가 바뀌게 출력 됨)%s : 문자열 %d : 정수 %f : 실수 (실수에서 소수점 n번째까
어떤 조건에 따라 실행이 분기 되는 식A if 조건식 else B >> 조건식의 결과가 True이면 A실행, 그렇지 않으면 B실행if 조건식: 실행문(들여쓰기 주의, 콜론(:) 주의, 조건이 참일 경우 실행,조건이 거짓일 경우 패스)조건식 결과에 따라 둘 중에 하나가
입력 >> 함수 >> 출력 구조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을 함수로 사용(특정 기능을 재사용하기 위해)입력(들어가는 값)만 바뀌고 같은 코드가 반복되는 경우 특정 코드들을 모아두는 용도로 사용 함수는 내장 함수와 사용자 함수로 나뉨함수는 def 키워드, 함수명, :, 들
변수는 객체의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해서 객체를 참조한다.Robot 이라는 클래스를 생성 후 객체를 두개 생성함이 두 객체를 참조하는 rb1과 rb2라는 변수는 메모리에 저장이 되어있는 것이아니라 메모리 바깥의 공간에 존재하고 객체의 '주소값'을 저장한 것
규칙성을 가지고 나열되어 있는 수들.2, 4, 6, 8, 10...위에서 나열되 있는 수를 형식(일반항)으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다a𝚗 = 2n여기서 2n이 바로 일반항을 의미한다.수열에서 중요한것은 바로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등차수열은 연속된 두 항의
1. 자료구조 > 여러 개의 데이터가 묶여있는 자료형을 컨테이너 자료형이라고 하고, 이러한 컨테이너 자료형의 데이터 구조를 자료구조라고 한다. (묶어서 관리 함) 자료구조 종류 리스트는 안에 있는 데이터를 바꿀 수 있다.(박찬호를 박지성으로 바꿀 수 있음) bu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을 찾는 알고리즘의 하나로 순차검색알고리즘, 선형검색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리스트의 인덱스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값을 검색하는 것이다.\-1은 검색 결과가 없음을 나타내는 관용적인 값으로 사용선형검색에서 보초법이란 리스트의 마지막 인덱스에 찾으려는 값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