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form
rotate, scale
-> rotate(회전값:45deg)
-> scale(확대 축소:x,y)
skew, translate
-> skew(각도 변경: 10deg, 20deg)
-> translate(위치 변경: 100px; 200px);
Transition
property, duration
-> transition-property : 효과를 적용하고자 하는 css속성
-> transition-duration : 효과가 나타나는데 걸리는 시간
timing-function, delay
-> transition-timing-function : 효과의 속도
ex) linear : '일정하게'라는 의미
-> transition-delay : 1s '1초 후'에 효과시작
Hover
transition:hover {width:300px}
-> 마우스를 올렸을 때 넓이가 300px로 늘어남
!! 띄어쓰기 없이 code를 작성해야함 !!
Animation
Animation은 CSS스타일을 부드럽게 전환시켜준다. 이때 애니메이션의 중간상태를 나타내는 @keyframs들로 이루어진다.
.iteration-count : 애니메이션 반복 횟수 ex) infinite
.direction : 애니메이션 진행 방향
1.alternate : from->to->from 2.normal : from->to, from->to 3.to->from, to->from
animation-delay : 엘리먼트가 종료 된 후 애니메이션이 시작되는 시점을 지정
animation-name : 애니메이션의 중간 상태를 지정한다. 중간상태는 @keyfromas규칙을 이용해 기술
animation-play-state : 애니메이션을 멈추거나 다시 시작가능
.box{
animation-name : eliceBox
background-color : white;
}
@keyframs eliceBox{
background-color : purple;
}
white->purple
media query?
PC뿐 아니라 모바일, 태블릿에도 대응되는 반응형 또는 적응형 웹사이트를 만들 때 사용하는 CSS구문
쉽게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보기 편리하게 웹사이트 창을 최대부터 최소까지 동작을 만들어 꾸며주는 것이다. 같은 쇼핑몰이더라도 PC에서 볼때 / 스마트폰으로 볼 때 다르듯이
이것의 핵심이 "미디어 쿼리" 이다.
.media{
width:500px;
height:500px;
background-color : red;
}
@media (min-width: 300px) and (max-width:300px){
width: 250px;
height: 300px;
background-color : blue;
}
-> 브라우저의 가로폭이 최소 300px가 되었을 때 color는 red->blue로 변경
viewport : 너비와 배율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meta-tage 속성
사용법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