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태그 기본 구조<열린태그 속성 = "속성값"> 컨텐츠 </닫힌태그> 태그: 이미지 삽입 태그 : heading 약자로 제목이나 부제목 표현 ex) \-> p태그, div태그 (Block 요소)Hello HelloHello\-> a태그, spa
Transformrotate, scale\-> rotate(회전값:45deg)\-> scale(확대 축소:x,y)skew, translate\-> skew(각도 변경: 10deg, 20deg)\-> translate(위치 변경: 100px; 200px);Transiti
자바스크립트(JavsScript로 표기하며 called "JS")변수를 선언할 때 const, let, var 로 나뉜다.이 3가지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즉, 값을 재할당 필요가 있으면 let / 없으면 const를 쓰는 것이 code를 깔끔하게 볼 수 있다.문자열에
DOM이란 (Document of Model)의 약자로 직역하면 문서.객체.모델 이다.즉, 웹페이지에 대한 인터페이스라고 보면된다. 여러 프로그램들이 페이지 콘텐츠 그리고 구조 스타일을 읽고 조작할 수 있도록하는 매개체이다.DOM요소의 스타일 변경DOM요소의 내용 변경
어떤 코드를 바로 실행하지 않고 일정 시간 기다린 후 실행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자바스크립트의 setTimeout()함수를 사용해야한다.result2초 후 실행자바스크립트가 비동기 처리를 할 때 사용되는 객체이다. 여기서 비동기란?특정 로직의 실행이 끝날때까
비동기통신처리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 중 Promise 비동기 코드를 사용하면 try/catch 대신에 catch()메서드를 사용해 예외처리를 해야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예외처리가 난해 해지거나, 누락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불편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ES7에
원래 자바스크립트는 웹상에서만 사용가능한 언어였다.WEB 1.0은 단방향 통신 WEB2.0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 (구글 맵스, 채팅 기능 등)그래서 고성능의 자바스크립트가 필요했고, V8엔진이 등장했다.이걸 브라우저 외부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그렇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JS라이브러리이다. component : react에서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있어 독립적인 단위로 쪼개서 구현한다.virtual dom : 가상적인 표현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에 의해 실제 DOM과 동기화하는
JSX는 함수 호출과 객체 생성을 위한 문법적 편의를 제공하는 JS의 확장 HTML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JS이며 HTML과는 다른 부분이 있다.✔️React에서 페이지를 구성하는 최소단위✔️ Componenet의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 Class Componenet
리액트는 사용자 정의 태그를 만드는 기술이다.build : 배포판으로 만들어주는 과정(용랑⬇️ 성능⬆️ 해주는 튜닝 과정)🌱배포방법 : npx serve -s build데이터(props)를 입력받아 View(state)상태에 따라 DOM Node를 출력하는 함수이다.
기존에는 컴포넌트 내에서 State와 생명주기를 관리하기 위해 반드시 클래스 컴포넌트를 사용했어야 한다. 그러나 개발자가 느끼기에 다소 복잡한 클래스 컴포넌트를 보완하고 함수 컴포넌트에서 클래스 컴포넌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React16.8 버전에 추가 된 것이다.1
로그인이나 회원가입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받아오는 data들은 양방향으로 통신하게된다.그때 사용자가 data를 입력할 수 있게끔 form을 만들어놓는 것component내에서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값을 재렌더링해서 처리setState내에 변경할 값을 넣기set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