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의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해선 링크 계층만 집중적으로 고려하면 된다.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종단 시스템 장치이동성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스마트폰, 데스크톱 등)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기지국이나 다른 무선 호스트에 연결된다.
small office, home office가 확산됨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과 내부 네트워크를 이어주는 NAT가 발전하였다.외부에서는 내부가 하나의 Ipv4를 가진 네트워크로 보이고, 실제 내부에는 여러개의 장치들이 존재한다.(내부에서는 각각의 장치에 포트번호를 부여하
학교와 서버와 라우터와 스위치를 잇는 스위치 근거리 네트워크 -> 프레임을 전달하며, MAC 주소를 이용한다.호스트나 라우터의 어댑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있다.(스위치는 다른 곳에 있다.)길이가 6바이트로 2^48개의 주소 사용 가능IEEE가 각국의 MAC주소를
호스트의 IP주소와 각종 TCP/IP 프로토콜의 기본 설정을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적으로 제공해주는 프로토콜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www.hanamon.kr)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라는 것컴퓨터는 DHCP 요청 메시지를 만들어 UDP에 넣고, 그것을 I
호스트와 라우터는 스위치의 존재를 모르므로 스위치는 그들에게 투명하다.스위치는 스위치 테이블을 자가 학습하는 능력이 있어 자동적으로, 동적으로, 자치적으로 구축하고, 프레임 수신시 테이블에 적절한 인터페이스가 있으면 그곳으로 전달 하고, 그렇지 않으면 여과한다.관리자나
홈 네트워크 : 이동 노드(랩톱, 스마트폰)의 영구적인 집홈 에이전트 : 이동 노드의 이동성 관리 기능을 수행방문 네트워크 : 이동 노드가 현재 머무는 네트워크방문 에이전트 : 이동성 관리 기능 수행, 이동 노드를 도와 줌TCP 같은 연결은 유지하고, IP 데이터그램
이동장치는 IP주소를 가지고 있다. (NAT로부터 얻은)SIM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IMSI 식별자가 있다.무선랜과 다른점 : 이동장치부터 게이트웨이까지 IP터널을 생성해 셀 간의 장치 이동을 처리HSS(홈 가입자 서버)HSS네트워크가 홈인 이동장치들의 데이터베이스 저장
기밀성(암호화), 메시지 무결성(체크섬), 종단점 인증(인증된 사용자), 운영 보안‘’평문, 원문 -> 암호화 알고리즘 -> 암호문’’(암호화 알고리즘은 잘 알려져 있어서, 키를 이용해 복원을 어렵게 해야한다)암호화 알고리즘 : 암호화, 복호화를 할 때, 양쪽이 서로
하나의 문자열을 이를 상징하는 짧은 값이나 키로 변환해시 함수를 통한 결과는 길이가 모두 32개메시지 무결성을 위해 원본과 해시한 것을 같이 보낸다.해시는 16^32개가 될 수 있고 아주 적은 확률로 충돌이 일어날 수도 있다.MD 알고리즘, SHA 알고리즘메시지 무결성
현재 널리 사용되며, 현재까지 가장 성공적인 무선랜 기술YMMV(Your Miledge May Vary) : 실제 데이터 전송률은 표와 다르다.CSMA/CA 매체 접속 프로토콜 사용동일한 링크 계층 프레임 구조 사용전송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송률을 감소시킴이전 표준
(여러 호스트가 동시에 동일한 채널로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할 수가 있기 때문에)802.11 무선랜에서 사용되는 랜덤 접속 프로토콜은 CSMA/CA이다. 전송하기 전에 채널 상태를 감지하고, 사용 중이면 전송하지 않는다.Collision detection하지 않고,
PGP (전자우편 암호화 소프트웨어)CA에서 공개키 인증을 받지 않고, 신뢰의 그물에서 받는다.전송 계층 TCP를 보안 시켜주는 TLS : 전자 상거래에 많이 쓰임핸드셰이크, 키유도, 데이터 전송 단계가 있다.VPN비싼 사설망 대신, 공공 인터넷을 이용하지만 암호화를
네트워킹의 시작 하나의 회사에서 비싼 장비를 혼자 쓰는 것이 아까워서 서로 연결해서 공유했고, 이것이 네트워킹의 시작이었다. 내부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것을 인트라넷이라고 한다. 이러한 내부 네트워크를 외부의 네트워크와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기 시작했는데 이것을 인터넷이
우리는 네트워킹을 통해 다른 서버와 정보를 공유한다고 했습니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이렇게 다른 서버와 네트워킹 하기 위해서는 택배를 받을 때처럼 주소가 필요합니다. 주소의 개념에서 MAC 주소는 각 하드웨어 장치의 고유한 주소입니다. 핸드폰이나 PC를 구매할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는 허브를 사용해 각 PC를 연결합니다. 각 PC들은 UTP 케이블을 사용해 허브로 연결되어 있는 모양입니다. 일반 가정집에서는 여러 PC를 연결한 허브를 찾아보기 드물지만, PC방이나 회사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작은 네트워크를 구성합니다. 허
이전 포스팅들에서는 내가 필요한 곳에 작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이전 포스팅 우리가 구성한 네트워크를 넘어 다른 사람들과도 소통하고 싶다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야 합니다.바로 인터넷에 연결되는 것인데요, 인터넷에는 수많은 네트워크
이전에 브리지를 설명하면서 Looping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스패팅 트리 알고리즘에 대해 잠깐 얘기했었는데요, 오늘은 이부분을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을 알기 위해서는 우선 브리지의 ID와 경로 비용 개념에 대해 알아야 하는데요. 브리지의
우리는 LAN (작은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이 안에서 많은 자원들을 공유하며 효율적으로 일을 하고 있습니다.하나의 LAN 안에서도 서브넷을 나눠 브로드캐스트 영역을 줄여 성능을 높였는데요, 나눠진 서브넷은 라우터를 통해야 서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이때 또, 새롭게 생
<용감한 원정대> Project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게시글을 올리면, 가까운 이웃이 채팅을 신청해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서비스이다.사용 주체는 원정대와 의뢰인이고, 두 사람의 거래를 위해 채팅 기능을 구현하기로 했다.우리 Project의 Client는 Re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