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요소

김예희·2023년 7월 8일
0

1. 메타 데이터의 역할

  •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 -> <head>에 들어가 있다.

2. Title

  • 단순한 명사로만 되어있는 제목은 피하라.

3. Meta - 문서 정보

  • <meta>는 name과 content 속성을 갖는다.

4. Meta - 문자 인코딩, 뷰 포트

  • character set: 페이지의 문자 인코딩을 선언한다.
  • <meta chraset=“UTF-8”> : 외국에서 우리나라 사이트를 접속해도 한글을 문제없이 볼 수 있게 한다.
  • <meta name=“viewport”> 의 값
    • Width = 웹 사이트를 렌더링 하고자 하는 뷰포트 너비를 정의
    • Height = 웹 사이트를 렌더링 하고자 하는 뷰포트 높이를 정의
  • 외부 리소스와 연결할 때
    -<link href=“main.css rel=“stylesheet”>
    • href 특성에 스타일 시트의 경로를 입력
    • rel 특성에 stylesheet 입력
  • 사이트의 파비콘을 연결할 때
    -<link rel=“icon” href=“favicon.ico”>

6. MIME 타입

  • 불러오는 파일의 타입이 정확히 뭔지 알려주고 싶을 때
    • type="text/css"
    • 이렇게 사용한다: <link href=“style/main.css” rel=“stylesheet” type=“text/css”>
  • 문법 = type(text/Image?)/subtype(확장자)
  • 많이 쓰이는 MIME 타입
    • text/plain: 단순한 문자로 이루어진 파일
    • image/png, image/jpeg

7. Style

  • <head>안에 <style></style> 넣어서 바로 꾸며줄 수 있지만, 외부파일에 따로 만드는 걸 권장한다.

8. Script

  • 외부 스크립트를 가져오거나 인라인 스크립트를 작성할 때 사용한다.
  • 외부: <script src=“javascript.js”></script>
  • 인라인: <script>alert(“Hello World!”)</script>
  • 인라인 <script>는 가능한 <body>의 맨 마지막 부분에 넣길 권장한다. 다운받을 때 오래걸릴 수 있기 때문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