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orking Directory: 소스코드 작업하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폴더.
2) Staging Area: Git에 등록 예정인 파일들이 올라가는 영역. 변경사항이 있는 파일, 리소스 등
3) Local Repository (로컬 저장소): 로컬 Git 프로젝트의 메타데이터와 데이터 정보가 저장되는 영역. 이 단계에서는 Git에 등록이 됐다고 본다.
-----여기까지는 PC에 저장되어 있다-----
4) Remote Repository (원격 저장소): 온라인 상의 저장소에 소스코드를 올려 놓고 변경사항,설정 등의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ex)Github
*반드시 1-2-3-4 이 순서를 거쳐서 소스코드를 등록해야 한다.
*git merge: remote repository에서 local repository로 가져온 소스코드를 working directory에 반영을 하는 것
1) origin: remote repository에 있는 코드
2) head: 내가 지금 작업하고 있는 로컨 브랜치; 소스의 시점
3) git add: working directory에서 staging area로 등록
4) git commit: staging area에 등록된 파일을 local repository 로 등록
5) commit message: commit시 함께 저장하는 메모;메시지
6) git push: local repositry에서 remote repository로 등록,업로드
7) fetch: remote repository의 변경된 파일들을 Local repository로 전달
8) merge: local repository의 변경사항을 working directory로 전달
9) branch: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따로 진행하기 위한 가지 ex)같은 프로젝트라도 다른 기능을 구현해야 할 때, 협업/분업을 할 때
10) checkout: 사용할 다른 브랜치를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