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페이지의 틀을 만들기 위해 탄생한 마크업 언어
태그들의 집합이다
트리구조
self-closing tag
<div>
: 한줄을 차지한다
<span>
: 컨텐츠 크기만큼 공간을 차지한다.
<img src ="링크">
: 링크에 있는 이미지 삽입
<a href="링크"> :
: 링크에 있는 주소로 이동, target_blank를 추가하면 새 페이지로 해서 이동한다.
<ui>
: unordered list의 약자로 순서가 없다. 그리고 원소들은 <li>
로 추가하면 된다.
<input>
: 입력을 받을수 있으며 type으로 라디오(그룹 지어줘야함), 체크 여러가지로 응용가능하다.
<textarea>
: 말그대로 글자공간이며 여러줄을 입력할수있다.
<p>
: 문단을 표현할때 사용한다.
<index.css>
body -< 셀렉터{
color : red;
font-size : 30px;
<html 파일에서>
<link rel="stylesheet" href="index.css" />
h1 {}
h1 태그 전체에 적용
* {}
전체 적용
section, h1{}
section과 h1에 적용
#only {}
id가 only인 대상에 적용된다.
.widget{}
class가 widget인곳에 적용된다.
header h1 {} -> 후손인곳
header > p {} -> 자식인곳
header + p{} -> 인접하고 형제인곳
header ~ p{} -> 형제인곳
순서는 시계방향으로 두개는 상하, 좌우, box-sizing :border-box 사용하기
p {
height: 40px;
overflow: auto;
}
overflow를 적용하면 박스보다 큰 콘텐츠에는 스크롤을 표시한다.
<main>
<div>box1</div>
<div>box2</div>
<div>box3</div>
</main>
지금 상태로는
박스1----------------
박스2----------------
박스3----------------
인데 display: flex 속성을 적용하면
main{
display : flex ;
}
요소의 정렬, 요소가 차지하는 공간들을 설정해줄수가 있다.
row
: 가로로 정렬column
: 세로로 정렬nowrap
: 줄바꿈을 안한다wrap
: 줄바꿈을 한다.wrap-reverse
: 밑에서부터 줄 바꿔가면서 채워감flex-start
: 앞쪽부터flex-end
: 뒤쪽부터center
: 가운데 정렬space-between
: 서로 최대한 멀리 (벽포함X)space-around
: 서로 최대한 멀리 (벽포함O)stretch
: 쭉 늘림flex-start
: 앞쪽부터flex-end
: 뒤쪽부터center
: 가운데 정렬baseline
: 내용이 기준선 따라서 배치된다.grow
: 얼마나 늘어날건지
shrink
: 얼마나 줄어들건지
basis
: 기본크기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