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aml, class 로 설정한거 기록해보자
Api Gateway에 CustomFilter를 넣어보는 강의이다.CustomFilter클래스를 만들고 AbstractGatewayFilterFactory를 상속 받는다.CustomFilter에 내부 정적 클래스 Config를 만든다. 이 클래스에는 설정 값들을 넣는
아래와 같이 yml 파일에 있는 설정들을 true로 바꾸고 defaultZone을 유레카 서버로 입력해준다.라우츠 아래의 uri도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바꾼다.기존에는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localhost:8081을 호출하는 방식이었는데, 이제는 유레카 서버에
아.... 이것 때문에 2일을 날려먹었다. 이런 이유로 블로깅하는건 첨인거 같다. 일단 해법은 여기에 있다.https://jennana.tistory.com/179상황은 이렇다. 주키퍼 on -> 카프카 on -> 브로커 on -> 컨수머 on여기서 난리가 났
이 라이브러리는 버전호환성이 좀 구리다(?). 사용하는 스프링부트 버전과 잘 비교해봐야 한다. 아니면 빌드시 테스트에서 뻑이난다. 테스트를 걷어내고 돌리면 돌아갈까? 아직해보진 않았다. https://spring.io/projects/spring-kafka맨
jenkins 강의를 듣기 시작했다. 초반부에 ci/cd가 나온 배경에 대해서 설명을 하던 중 개발 방법론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었다. 이 강의를 듣다가 생각난 것이 기술노트 알렉님의 유튜브에서도 같은 내용을 설명해주는 영상이 있었다. 당시에는 대체 저게 뭐임? 내가 공
"데이터베이스 공유 자체가 항상 악취나는 아키텍처는 아니다." 특히 CQRS 패턴에서 읽기(Read-Only) DB를 공유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패턴이다. 그렇다면 왜 "DB 공유는 나쁘다"라는 이야기가 자주 나올까? 여기에는 몇 가지 핵심 원인이 있다.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