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스프링을 사용하다 보면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자주 접하게 된다. 그 중 많이 쓰는 것이 @TransactionalEventListener인데, 적용과 별개로 내부 동작을 파헤치는 곳이 없는 것 같아 아주 조금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TransactionalEventListener는 Spring의 트랜잭션 동기화(Transactio...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 트랜잭션 롤백이 잘 동작하는지 테스트하는 방법과 그 개념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개발자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멱등성~! 최근에 좋아요를 구현해보려고 하는데 각기 다른 서비스들은 과연 어떻게 구현하고 있을까가 궁금했다. 그래서 오늘은 '좋아요' 기능을 예시로 파고 들어가보려고 한다.
예전의 나에게 테스트란 단지 ‘구현이 끝난 후,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는 마지막 절차’였다.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테스트는 이제 내가 어떻게 구현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설계 지침서다.
운영 서버에서 63,000건의 이미지 배치 작업 중 락이 발생하며 장애가 발생했다. 처음 겪는 규모 있는 데이터 처리 이슈였고, 원인은 단순하지만 치명적이었다. 이 글은 그 문제의 원인, 해결, 그리고 회고를 정리한 실무 경험 공유이다.
논문 읽기 스터디를 하고 있는데, 이번엔 나의 발표차례여서 facebook의 memcache 논문을 정리한 내용을 공유하려고 한다. 논문 이외에 조사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보니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에 대해 의문점을 가진적 있는가?
그 전부터 취준을 위해서든 나의 개발생활을 위해서든 책을 읽긴 했지만 본격적으로 친구들과 책 스터디를 하게 된 것은 올해 1월부터로, 3개월 단위로 여러 책들을 읽어왔다. 한번에 두권의 책을 하기도 한권을 책을 하기도 했다 도커교과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101, 가상
자바에서 코틀린으로 전환하면서 다양한 함수들이 있지만 제대로 활용하고 있지 않은것 같아서 어떤 함수들이 있는지 정리해보고자 한다. 존재라도 알면 쓰임을 생각해내서 활용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