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마이크로 서비스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Gateway 에서 route 해주고 각 서비스에서는 open api url주소를 API Gateway 포트 주소 값으로 이용한다.
이때, 각 마이크로 서비스 스웨거 관련 주소는 서비스 명을 추가해주고 상대 주소값으로 API Gateway 에서 불러준다.
👉 자세한 사항은 [ Swagger (springdoc) 와 Spring Cloud Gateway 통합 ] 에서 확인한다.
✅ http 헤더의 Sec-Ch-Ua-Platform을 읽어서 jwt token의 payload에 넣어 구현!!
👉 자세한 사항은 [ 다중 디바이스 동시 로그인과 JWT TOKEN (2) ] 에서 확인한다.
이것도 여러 형태가 있었다. 특히 카카오, 네이버 / 구글 이 구현하는데 차이가 있었다. 아래는 참고한 소셜로그인 방식들이다.
각 DB의 테이블은 관계, join 으로 연결할 수 있는데 각 마이크로 서비스와 연결된 DB는 어떻게 연결될까?
jpa 예시)
@ManyToOne
@JoinColumn(name = "TEAM") )
[ Spring Cloud Gateway + Microservices + Eureka 연동, 로드 밸런싱 처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