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단계 📌 유니티에도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있다. 보통 포톤 클라우드를 서버로 두는데 무료 계정은 20 CCU(Concurrent connected User, 동시접속자)밖에 지원안해준다. 20명씩 여러 방을 만드는게 가능한가? 📌 포톤 클라우드는 D
✅ 각 마이크로 서비스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Gateway 에서 route 해주고 각 서비스에서는 open api url주소를 API Gateway 포트 주소 값으로 이용한다.이때, 각 마이크로 서비스 스웨거 관련 주소
🚀 개발 & 인프라 단계 📌 CI CD 할때 브랜치 push 해도 바로 적용안되는 이유? ✅ Docker Continer가 삭제되어도 Eureka에서 바로 알아차리지 못해 이미 종료된 컨테이너를 호출하므로 에러가 남 👉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안쓰는 컨테이
🚀 개발단계 📌 서비스간 결합도 최소화하기 👉 ✅ 📌 PK , FK , 복합 키 , 인덱스 키 📌 보안 📌 시간
👉✅ 👉 MSA와 k8s를 도입하는 환경에서 라즈베리파이에 설치된 react 클라이언트에서 여러 형태의 서버에 호출을 할 때, 이를 어떤식으로 판단할 지 고민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가 직접 여러 형태의 서버와 소통한다고 가정한다면 gateway를 ko
🚀 개발 & devops 단계 📌삼성 헬스 데이터를 가진 모바일과 맴버 정보를 가진 스마트 미러를 어떻게 연결해야 하나?
🚀 개발 & devops 단계 📌 변동되는 Spring API Gateway는 어떻게 연결할 것인가? 즉 복제된 gateway중 어떤것으로 연결할지는 클라이언트에서 하나의 주소로 통일 하는 방법이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