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이번엔 모르고 한 번 풀었던거 푼거라 72점 나왔다 ^^
38점도 찍어봤는데 확실히 비슷한 문제와 비슷한 답들이 나와서 찍기 운이 좋으면... 잘 나오는 것 같다
2020년 02월 16일 기출
대역대 S.M Prefix
A 0.0.0.0 ~ 127.255.255.255 255.0.0.0 /8
B 128.0.0.0 ~ 191.255.255.255 255.255.0.0 /16
C 192.0.0.0 ~ 223.255.255.255 255.255.255.0 /24
D 224.0.0.0 ~ 239.255.255.255
E 240.0.0.0 ~ 255.255.255.255
이거 용관쓰가 외우라고 했는데... 너무너무 외우기가 싫어요 ㅠ 미치것네
클래스 구하는 문제는 제일 앞의 수만 보고 구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Sliding Window 흐름 제어 기법
👉🏻 TCP 헤더에 수신측 버퍼의 크기에 맞춰 송신측에서 데이터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해주는 필드가 있다
ARP : Ethernet 같은 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브로드캐스트 기능을 사용하여 목적지 IP Address에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를 매핑함
🌟 이거도 매번 나오는 구분 문제
ARP - 목적지 IP Address에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를 매핑
RARP - 목적지 물리적 하드웨어 주소에 IP Address를 매핑
서로 반대이다!
B Class 서브넷 마스크의 기본값은 255.255.0.0이다. 세 번째의 0숫자를 수정하여 서브네팅한다.
6개의 섭넷 마스크가 필요하므로 2진수 단위로 개수가 늘어나 256을 8개로 나워야 하며 32개의 호스트 사용이 가능한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한다. 256-32=224이므로 정답이 됨.
^^... 존나 외우기 싫다
스타 토폴로지: 각 스테이션이 중앙 스위치에 연결 → 네트워크를 구축하는데 더 많은 케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에, 더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링 토폴로지: 토큰이라는 비트의 패턴이 원형을 이루며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하.. 이것도 외우라고? 에바임... 잘 찍어서 맞추면 좋겠는데 오답 매번 하는 거 보면 나는 찍기 능력은 진짜 하나도 없는 것 같다 ^^...
보안 로그: Windows Server 2008 R2의 이벤트 뷰어에서 로그온, 파일, 관리자가 사용한 감사 이벤트 등을 포함해서 모든 감사된 이벤트를 보여주는 로그
MaxClient
: 아파치 httpd.conf
설정 파일의 항목 중 접근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개수를 지정하는 항목
아무래도 이름에 max가 들어가있으니까...!
Windows Server 2008 R2의 DNS Server 역할에서 지원하는 레코드의 형식과 기능
/etc
설정 파일 목록
/etc/host
: IP와 Hostname 또는 Domain Name을 매핑하는 역할, 작은 네트워크에서는 DNS를 대신하도록 설정 가능/etc/resolve.conf
: 로컬호스트에서 도메인 쿼리를 어느 네임서버에게 질의할 것인지를 결정(요청할 DNS 서버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파일)/etc/sysconfig/iptables
: 리눅스의 방화벽 설정 파일/etc/sysconfig/network
: 시스템의 Hostname / Default에 정보를 지정할 때 사용하는 파일 Kerberos: Windows Server 2008 R2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또는 서버와 또다른 서버간의 인증 및 상호 인증을 제공하는 인증 프로토콜임과 동시에 일종의 키분배센터(KDC), 버전 5로 구현
MIT에서 개발한 티켓 기반의 중앙집중적인 인증방법으로 대칭키를 사용하고, 사용자는 티켓을 발급받은 후 인증 서버에게 인증을 받는다.
라우터의 경로 배정 과정
A. 패킷의 수신 누군가 찾아왔다!
B. 목적지 확인 어디로 가는지 묻는다!
C. 경로 확인 가능 방법을 찾는다!
D. 패킷 전송 데려다준다!
수신(패킷) - 검색(목적지 주소 정보) - 연결 확인(목적지 유무확인 및 연결 인터페이스 확인) - 전송(인터페이스 결정 후 전송) 수검연전...
방화벽 - 외부에서 내부로의 접근을 통제한다
NAC - 내부 네트워크를 통제, 평가, 점검한다
NAC
1. 안전 검사
2. 인증 관리
3. 권한 관리
4. 모니터링
5. 장치 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