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네트워크 관리사 2급 오답 해설

sookyoung.k·2024년 11월 2일
0
post-thumbnail

57점이다 ^^... 하 아직 안정권은 확실히 아님 제발
잘좀 하자...

2020년 5월 17일 기출

1과목: TCP/IP

  1.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 시간

TTL 문제는 진짜 최소 하나는 꼭 나오니까... 제발 외우자 이건...

  1. TCP/IP 4 Layer
    • L4 - 응용계층(OSI 7계층의 세션, 표현, 응용계층) / 프로토콜: SMTP, SNMP, TFTP 등
    • L3 - 전송 계층 (OSI 7계층의 전송계층)
    • L2 - 인터넷 계층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 / 프로토콜: ICMP 등
    • L1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OSI 7계층의 물리, 데이터링크 계층)

OSI 7계층이나 TCP/IP 4 계층도 꼭 외우고 프로토콜도 조금 숙지하고 가자 이거도 무조건 나온다...

  1. IPv4의 헤더 필드
    • VER: IP 프로토콜의 버전을 나타냄
    • HLEN: 헤더의 길이 표시
    • Protocol: 패킷이 전송되어져야 할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의 ID
  2. OSPF: Link State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로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며 네트워크 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

RIP, IGRP: Distance Vertor 알고리즘을 이용함

  1. TCP 헤더의 플래그 비트: URG, ACK, RST, PSH, SYN, FIN

  2. 사설 IP 대역
    A Class 10.0.0.0 ~ 10.255.255.255
    B Class 172.16.0.0 ~ 172.31.255.255
    C Class 192.168.0.0 ~ 192.168.255.255

외우기가 너무 싫어요

  1. IPv6
    • 128bit로 구성
    • 모바일 IP, IPsec 프로토콜 사용 가능
    • IP가 16진수로 표시되며 8자리
    • 브로드캐스트 대신 애니캐스트를 사용한다 (브로드캐스트는 IPv4에서 사용)
  2. 네트워크 상황을 확인하는 명령어
  • 윈도우: tracert (UDP, ICMP TTL 이용)
  • 리눅스: traceroute

2과목: 네트워크 일반

  1. Fast Ethernet: 100BASE-T라고도 불리는 이더넷의 고속 버전, 100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근거리통신망의 표준

  2. CSMA/CD: LAN의 매체 접근 제어방식 중 버스구조에서 사용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채널이 사용중인지 검사하고, 채널이 사용중이지 안흐면 모든 노드가 채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면 충돌이 일어나고 데이터는 폐기되며 일정시간 대기 후 다시 전송한다

CSMA/CD도 무조건 나오는 것 같으니까... 음... 잘 찍자!

  1.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ion): 네트워크 가상화

네트워킹에 필요한 모든 유형의 자원을 추상화, 소프트웨어적이고 자동적으로 관리와 제어가 가능케하는 가상화 기술

WMN: 무선 매쉬 네트워크
VPN: 가상사설망
CDN: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

3과목: NOS

  1. FTP 서버 구축 👉🏻 웹 서버 역할을 선택해서 설정

??

  1. GRUB (Grand Unified Bootloader)
    👉🏻 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졶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 linux 로더를 의미함

  2. man - Manual을 줄여서 man이라 사용! 👉🏻 해당 명령어에 대한 사용법을 확인할 수 있다.
    ex. man ls

  3. 리눅스 시스템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sample' 파일의 쓰기 권한 금지
    👉🏻 chmod a-w sample

읽기r, 쓰기w, 실행x
모든 사용자라고 했으므로 a, 쓰기 금지이므로 -w

  1. pathping: 네트워크 연결을 구축하거나 문제를 해결할 때 패킷이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가는 경로를 살펴볼 수 있도록 함
    tracert에서 수행하는 동일한 정보를 보여주면서 홉과 다른 세부 정보사이의 시간에 관한 정보를 출력이 끝날 때까지 저장

nslookup: 도메인 네임을 얻거나 IP주소 매핑 또는 다른 특정한 DNS 레코드를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에 질의할 때 사용
nbtstat: NBT를 이용하여 NetBIOS`에 관련된 통계 및 현재의 연결 상태 등을 보여주는 MS윈도우즈의 유틸리티

  1. Apache 웹 서버 구성시의 옵션들

    • Listen: 포트 지정
    • ServerAdmin: Apache 서버가 보낼 email 주소 입력
    • DocumentRoot: 아파치 서버가 인식할 데이터들이 저장될 디렉터리 지정
    • DirectoryIndex: 클라이언트가 웹서버 접속 시 초기 화면으로 보여줄 파일명 지정
  2. netstat 명령으로 표시되는 IPv4 통계정보: IP, TCP,UDP

  3. DNS 서버에 DNS 레코드를 추가할 때

A(Host) : 주소/호스트 레코드 - 정규화 된 도메인 이름/호스트명(FQDN)을 IPv4에 연결.
AAAA(IPv6 Address records): 주소 레코드 - 호스트를 IPv6에 연결한다.
CNAME(Canonical NAME) : 별칭 레코드 - 실제 호스트명(A레코드)과 연결되는 별칭,별명을 정의.
MX(Mail Exchange) : 메일 교환 레코드 - 메일서버(사서함)에 도달할 수 있는 라우팅정보(메일서버) 제공.
SRV(SeRVice) : 서비스 위치 레코드 - 비슷한 TCP/IP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수의 서버 위치 정보 제공.
PTR(PoinTeR) : 포인터 리소스 레코드 - 다른 DNS레코드를 가리킴, 역방향 조회에서 A레코드를 가리킬 때 사용.
SOA(Start Of Authority) : 권한 시작 레코드 - DNS영역의 주 DNS 서버를 정의하며 일련번호를 통해 영역의 변경 사항 기록.

  1. Linux 시스템 부팅과 함께 자동으로 마운트되어야 할 항목과 옵션이 정의되어있는 파일 👉🏻 /etxc/fstab

보통 파일 설정 관련된... 것들은 etc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1. Repeater를 사용해야 될 경우
    • 신호를 재생하여 전달되는 거리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

리피터는 물리 계층에 해당하는 장비로 감쇠된 전송신호를 새롭게 재생하여 전달하는 장치이다

profile
영차영차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