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기출은 38점을 받았고 이번엔 46점을 받았다 ^^
하루에 20점씩 올려야함... 큰일이 났음 아주
2022년 05월 22일 기출
IPv4의 IP Address 할당
C Class의 네트워크 주소가 `192.168.10.0` 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240` 일 때, 최대 사용 가능한 호스트 수(단,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호스트는 제외): 14개
간단하게 240~255 총 16개 중 네트워크와 브로드 빼면 14개다
?? 먼소리임 걍 이 문제 나오면 버릴까?...
흐름제어 방식 두 가지
1. stop and wait
- 패킷 하나 보내면 하나 받고, 하나 보내면 하나 받고... 이런 방식이라 느리다
- Sliding Window (더 효율적인 방식)
- 수신측에서 설정한 윈도우 크기만큼 송신측에서 패킷 각각에 대한 확인 응답없이 세그먼트를 전송하게 하고, 데이터 흐름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기법
- Go Back N | 선택적 재전송: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의 세부적인 방식
- Go Back N: 전송이 실패한 패킷부터 시작해서 그 이후의 것을 한 방에 같이 전송
- 선택적 재전송: 전송이 실패한 패킷만 추출하여 그 특정 패킷들만 전송
혼잡이 발생할 때 Traffic Class 필드(priority) 데이터그램을 버린다
🌟0 - Echo reply : 에코 응답에 사용
3 - Destination unreachable : 라우터가 데이터를 라우팅 못 하거나 호스트가 데이터 전송을 못할 때
4 - Sourche quench : 요청 폭주가 발생한 상황을 송신 측에 알려줌
5 - Redirect : 송신측으로부터 패킷을 수신받은 라우터가 특정 목적지로 가는 더 짧은 경로가 있음을 알려줄 때
8 - Echo Request : 에코 메시지 요청
11 - Time Exceeded :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TTL이 0에 이르렀을 때
12 - Parameter Problem : checksum에 의한 오류 검출 결과 오류 시 자료 재전송 요청
TCP - FTP
- 3방향 핸드셰이킹 방법인 TCP 세션을 통해 전송
4계층 세그먼트 헤더 포함 정보 - Port Number \
ARP - IP에서 물리적 주소로 갈 때
RARP - 반대! 물리적 주소에서 IP
* SWAP = MEMORY
DNS는 기본적으로 UDP 53번에서 작동하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TCP 53번
TCP 3-WAY HAND SHAKING 과정
: SYN → SYN+ACK → ACK
TCP/IP protoco stack에서 사용되는 SNMP 프로토콜의 기능
: 네트워크 장비의 관리 및 감시 기능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용어를 풀어서 보면 된다! 외워!
DAS (Directed Attached Storage) - PC의 외장하드와 비슷함. 서버와 전용 케이블로 연결된 외장형 스토리지
Linux 명령어
chage
: change age의 약자,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기간 및 시간 정보 변경chgrp
: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 그룹을 변경하는 명령어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usermod
: 사용자 정보를 수정하는 명령어Linux에서 DNS의 SOA(Start Of Authority) 레코드
TTL(Time To Live):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이 유효한 시간
1. IP 패킷에서의 TTL: 패킷이 라우터를 거칠 때마다 TTL 값 1씩 감소, 0되면 패킷 드롭
2. DNS 레코드에서의 TTL: 캐시 네임서버가 TTL 시간동안 캐시에 저장해두고, 상위 네임서버에 질의하지 않고 바로 응답
👉 TTL 값이 짧으면 상위 네임서버에 많이 질의하게 되고 DNS 쿼리량이 늘어나 부하가 커진다
👉 반대로 TTL 값이 길면 DNS의 부하가 짧아진다
-rwxr-x--x
파일 권한 👉 알파벳 9자로 나타낸다
- 1~3 : 파일 소유자
- 4~6 : 소유자와 같은 그룹의 사용자
- 7~9 : 일반 사용자에 대한 권한
👉 알파벳: r(읽기), w(쓰기), x(실행권한)
👉 chmod 명령어를 통해 설정할 때 r=4, w=2, x=1로 치환해 3자리 숫자로 나타낸다
chown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디렉토리 출력
ls
: list, 디렉토리 안의 내용 출력
rm
: remove, 디렉토리/파일 삭제
kill
: 프로세스 종료 nice
: 프로세스의 우선순위 변경pstree
: 프로세스를 트리 형태로 보여줌top
: proc에서 일정 주기로 합산해 cpu 사용율, 전반적인 현재 os 상태 를 출력 FSRM = File Server Resource Manager
👉 파일 서버 제공을 위한 기능
폴더에 저장할 수 있는 용량 제한, 특정 파일의 유형은 업로드 하지 못하게 설정, 디스크 용량 정리, 문서 관리 등을 담당
네트워크 스토리지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 표준 이더넷을 통해 파일로 데이터에 엑세스하고 파일 서버로 인식됨
👉 비디오같은 비 구조적 데이터에 사용
SAN (Storage Area Network)
👉 파이버 채널 연결을 사용하고 블록 레벨에 데이터 저장
👉 클라이언트에게 그냥 일반적인 디스크로 인식된다 (별도의 자체 스토리지 디바이스 네트워크로 존재하기 때문)
이벤트 뷰어: 종료 또는 재부팅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항목
FTP의 두 가지 모드
FTP는 2가지 모드는 2가지 포트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1. 제어포트 - 사용자가 파일 서버에 접속하여 명령을 내리는 일련의 과정들 등에 대한 연결에 사용
2. 데이터 포트 - 다운/업로드 명령을 내리면 데이터가 전송될 때 사용되는 포트
ipconfig 명령어
ipconfig/flushdns
: DNS cache 초기화ipconfig/displydns
: DNS cache 조회 기록ipconfig/release
: ip주소 삭제ipconfig/renew
: ip주소 갱신파티션 형식
GPT 닥승
파일 시스템
- ext4: 파일 시스템 (써본적 있는거 알지?)
- FAT: 드라이브 최대크기 4GB, 파일 한 개 크기 2GB
pathping
: ping과 traceroute 명령어의 기능을 결합하여 네트워크 경로 상의 지연과 패킷 손실을 분석하는 명령어ping
: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에코 요청을 보내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지연 시간을 확인하는 명령어nbtstat
: Windows 네트워크에서 NetBIOS over TCP/IP(NBT) 통계를 표시하며, 로컬 및 원격 컴퓨터의 NetBIOS 이름 테이블과 캐시를 조회하는 도구netstat
: 운영 체제의 네트워크 연결, 라우팅 테이블, 인터페이스 통계, masquerade 연결, 멀티캐스트 멤버십 등 네트워크 관련 다양한 통계를 표시하는 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