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땅에 헤딩해봅니다 ^^ 오답... 이라도 쓰면서 외우기...
2022년 02월 27일 기출
삼일의 전사... 가보자고
DNS에서 사용될 때 TTL(Time to Live)는
데이터가 DNS서버 캐시로부터 나오기 전에 현재 남은시간
'255.255.255.224'인 서브넷에 최대 할당 가능한 호스트 수는 30개
해설: 256 - 224 = 32
처음과 끝 두 호스트 제외 - 2 = 30
? 먼소린지 모르겠다
Link State 알고리즘을 이용해 서로에게 자신의 현재 상태를 알려주며 네트워크 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OSPF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
IPv6의 주소 표기법: 3ffe:1900:4545:0003:0200:f8ff:ffff:1105
표시에 16진수, 8자리로 구성
TCP 패킷 플래그 중에서 연결이 정상적으로 끝남을 의미하는 것은 FIN
SSH(Secure Shell) Protocol의 특징
DNS 서비스 구성 시 모든 영역 파일의 첫 번째 레코드: SOA 레코드
Start of Authority record의 약자
서브넷 4개, 한 서브넷의 호스트 수: 64 네트워크 범위
0~63, 64~127, 128~191, 192~255 중 128~191 범위에 포함된다
마지막 번호인 191은 제외하므로 답은 192.168.100.190이다.
? 먼소리임
Text의 압축, 암호 기능은 표현계층의 기능
에러제어 기법 중 자동 재전송 기법
패킷 교환망의 특징
LAN의 구성 형태 중 중앙의 제어점으로부터 모든 기기가 점 대 점(Point to Point) 방식으로 연결된 구성 형태: 스타형 구성
CSMA/CD
c(rush), sma(ite) == 충돌 이렇게 외우기...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Ethernet = 10BASE-T
Gigabit Ethernet = 1000BASE-T
IDC(Internet Data Center): 서버 컴퓨터와 네트워크 회선 등을 제공하는 시설로, 서버를 한 데 모아 집중시킬 필요가 있을 때 설림
광대역융합망(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유선망과 무선망을 통합하여 통합 단말기를 통해 최적으로 통신망 간 접속이 이루어지며 끊김없는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
네트워크 계층의 단위: 패킷
OSI 7 Layer
1 물리: 비트
2 데이터링크: 프레임
3 네트워크: 패킷
4 전송: 세그먼트
나머지 상위 3계층: 메시지
프린터는... IP로 접근한다!
Windows Server 2016의 서버관리자를 이용하여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로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 HTTP, FTP
Windows Server 2016에서 DNS서버기능을 설정한 후에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명령어 프롬프트에서 도메인을 입력하면 해당 IP주소를 보여주는 명령어: nslookup
nslookup
: DNS 서버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할 때 사용
Linux 디렉터리 구성
Linux 시스템의 데몬(Deamon)
ps afx
명령어를 실행하면 데몬 프로그램의 활동 확인 가능다른 운영체제와 Linux가 공존하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멀티 부팅을 지원할 때 사용되는 Linux 로더: GRUB
MBR: 운영체제 어디에, 어떻게 있는지 식별
RAS: 원격지에서 본사에 있는 서버에 접속
NetBEUI: NetBios(LAN내 컴퓨터들이 상호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약속된 규격)의 확장판
GRUB: 멀티부트로더
System32: Windows 시스템의 중요한 운영 체제 파일이 위치한 폴더
drivers: 장치 드라이버 및 관련 파일이 위치하는 폴더
etc: 구성 파일이 위치하는 폴더
hosts: IP 주소와 도메인 이름을 매핑하는 파일
파일 속성 출력 명령어: lsattr
(list attribute)
Linux 명령어
mkfs
: 파일 시스템 포맷
nohup
: 세션 연결이 끊어져도 지속적으로 동작 할 수 있게 해줌
sleep
: window의 화면 본보기 처럼 화면을 정지시킴
last
: 마지막에 접근한 사용자의 정보를 확인
resolv.conf: DNS 서버 설정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입니다. DNS 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 파일이 올바르게 구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networks: 네트워크 구성과 관련된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네트워크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의 매핑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tocols: 인터넷 프로토콜과 관련된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IP 주소와 프로토콜 번호의 매핑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services: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각 포트 번호에 대한 서비스 이름과 프로토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LAN 카드의 MAC Address의 번호 체계: 48비트
OSI 7 계층에서 리피터(Repeater)가 지원하는 계층: 물리 계층
1계층 물리는 리피터와 허브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