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토믹 해빗에 관하여

Seong Hyeon Kim·2025년 3월 24일
1

오즈코딩

목록 보기
3/5

주제 요약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4HnNq6XlJbw&t=3s


1도만 방향을 틀어도 도착하는 곳은 큰 차이가 있다.

  • 핵심은 매일 1%씩 성장하면 1년 뒤에는 37배 성장한 자신을 보게 될 것이라는 것이다.

행동에 대한 마찰

  • 좋은 습관을 들이기 위해선 그것과 가까이 하고, 나쁜습관을 버리기 위해서는 그것들과 멀리 해야하는게 핵심이다.

정체성의 변화

  • 목표는 분명 중요하지만 그 목표를 성공하기 위해서 스스로의 정체성의 변화가 ‘더’ 중요한게 핵심이다..

만들고자 하는 습관을 가진 집단에 들어가자

  • 정체성을 만들고 내가 만들려는 나와 이해관계 혹은 관심사가 같은 사람들의 집단에 들어가서 더욱 성장하는게 핵심 이다

나의 생각

특정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의 사례를 보면 특출나게 천재성을 띄고 그것들을 발현시킨 사람들도 존재하지만, 그 내면을 살펴보면 그런 천재성을 띄우는 형태로 성장한 사람들도 많이 있다.




『막시무스의 지구에서 인간으로 유쾌하게 사는 법』 이라는 책에서 읽었던 유명 한 바이올리스트 파가니니에 관한 일화이다.


어떤 사람이 천재 바이올리니스트 파가니니에게 물었다.
“당신의 타고난 천재성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파가니니는 이렇게 대답했다.
“천재라고? 누구든지 하루에 7시간씩 매일 연습한다면 나처럼 될 수 있습니다.”
  



노력이라는 말은 성실과 인내가 동반된 그 결과물의 모습이라고 생각이 든다. 위의 파파니니의 일화처럼 매일같이 자신의 위치를 다잡고 하는 이들은 어쩌면 그러한 자신의 노력을 굳이기 위해서 자신의 모습에 습관을 들였기 때문에 이것들이 가능하게 되지 않았나 라는 생각을 오랜만에 다시 해보게 되었다.


여러 매체에서는 습관도 재능이라 라는 말이 있는데, 바꿔말하면 선천적인게 아닌 후천적으로 얻을 수 있는 몇개 안되는 재능중 하나가 습관이라는 생각이 들고, 스스로가 만든 하나의 습관은 선천적으로 가지지 못한 다른 어떤것들도 되게 할 수 있는 최고의 재능이 아닐까 싶다.




일일
profile
삽질도 100번 하면 요령이 생긴다. 부족한 건 경험으로 채우는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