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 데이터 분석가의 현업 CASE 강의

김진형·2023년 11월 7일
0

1. Why?

학교에서 진행한 4차 산업혁명 심화프로그램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가의 현업 CASE> 강의를 듣고 유용했던 정보들을 정리 및 기록하고자 작성한다.

2. 데이터 분석이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해하는 데 데이터를 사용하는 과정이다.

3. 비즈니스 데이터 분석가(BA)란?

데이터 분석가가 하는 일은 쉽게 말해 컴퓨터 코드로 데이터를 변환 하거나, 집계 및 통계분석, 머신러닝 모델을 훈련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비즈니스 분석가,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엔지니어, 데이터 과학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직군이 데이터분석가라고 한다. 하지만 Data Engineering, 머신러닝 엔지니어, Data Analytics, Data infra 를 하는 엔지니어 직군 만이 데이터 관련 직군은 아니다. 데이터 분석가의 일은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 기억에 남았던 내용들

  1. 현업에서 많은 사람들이 아나운서 학원을 다닌다고 한다. 그만큼 청자의 관심을 끌고, 자신이 전달하려는 바를 확실하게 전하는 능력이 어디서나 중요하다. 나아가 자신의 지식을 정리하고 공유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2. 데이터 회사에서는 플랫폼 구축을 많이 한다. 특히 AWS, Azure을 많이 사용한다. 즉, AWS 관리자가 필요하다는 것.
  3. 요즘은 대기업에서 신입을 안 뽑는 추세이다. 대부분 경력자들을 뽑는다고 한다. 강사님께서는 학생 때는 해커톤, 부트 캠프, 인턴 등으로 여러 경험을 쌓고 추후에 중소기업, 스타트업에서 경험을 쌓아 더 좋은 곳으로 이직하는 게 좋다고 하셨다.
  4.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도 많이 경험해보라고 하셨다. 밋업 같은 네트워킹 사이트를 적극 활용해보라고 하셨다.
  5. 나를 증명하는 것은 깃허브, 오픈소스 컨트리뷰션, 블로그, 프로젝트이다. 자소서보다 중요한 건 포폴이라고 하셨다. 블로그로 내가 무엇을 했는지 남기고, 깃허브에 관련 문서 및 코드를 올려 증거를 남기는 것이다.
  6. 면접에서는 질문의 답변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하는 방식이 많다. 질문에 대한 꼬리를 무는 질문들을 고민하고 답변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중요시되는 것 같다.
  7. 꼭 내 분야로의 진출이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어디로든 진출할 수 있을 열린 시야를 갖는 것이 좋다.
  8. Chat GPT 를 잘 활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능력도 중요하다. 조지타운 대학교 Sam Potolicchio 교수님은 '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질문하는 법을 배우는 것인데,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은 바로 그것이다' 라고 할 정도이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