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을 파이썬으로 풀려는데 아직 파이썬을 잘몰라서 공부하면서 풀려고 한다. 생각해보면 쉬운데 뭔가 쉬울수록 어려운 느낌이다.파이썬은 1991년 네덜란드계 프로그래머인 귀도 반 로섬이 발표한 고급 프로그래밍 언어로, 플랫폼에 독립적이며 인터프리터식, 객체지향적, 동적
이번주를 돌아 보면서 어려웠던 내용들 중에 어려웠던 내용을 한번 정리해 볼려고 한다.나날이 난이도가 올라가는 알고리즘 때문에 미칠지경이다.울고싶다 큐는 양쪽이 뚤려있는 통에서 한쪽은 데이터를 삽입하고 한쪽은 데이터를 삭제하는 자료구조입니다.스택이 후입선출(LIFO-la
키(key)에 데이터(value)를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파이썬 딕셔너리 타입이 해쉬테이블의 키를 가지고 바로 데이터를 꺼냄보통 배열로 미리 해쉬 테이블 사이즈만큼 생성 후 사용(공간과 탐색 시간을 바꾸는 기법)파이썬에서는 딕셔너리 타입을 사용하면 해쉬를 별도로 구현할
보통 그래프 문제에는 DFS(Depth-First Search)와 BFS(Breadth-First Search)가 있다.마지막 노드가지 깊게 탐색을 해서 깊이 우선 탐색이라 부른다.주로 스택이나 재귀로 구현한다.(백트레킹에 뛰어난 효용을 보인다.)데이터를 찾을 때는 항
입력값이 무한대로 향할때 함수의 상한을 설명하는 수학적 표기 방법입니다.빅오는 점근적 실행 시간(Asymptotic Running Time)을 표기할 때 가장 널리 쓰이는 수학적 표기법 중 하나이다.입력값 n이 커질 때, 즉 입력값이 무한대를 향할 때 함수의 실행 시간
셀수 있는 수량의 순서 있는 열거리스트에서는 대괄호 ","를 이용해 만들었다면Tuple에서는 소괄호 "(,)"를 이용해 만들수 있다.★값이 1개만 들어있는 튜플을 만들때에는 t2 = (1, )처럼 값을 하나 넣고 콤마를 넣어주어야한다Tuple은 set자료형이랑 달리 중
파이썬 heapq 모듈은 heapq (priority queue) 알고리즘을 제공한다.모든 부모 노드는 그의 자식 노드보다 값이 작거나 큰 이진트리 구조인데. 내부적으로는 인덱스 0에서 시작해 k번째 원소가 항상 자식 원소들보다 작거나 같은 최소 힙의 형태로 정렬된다.
최대값이랑 최소값을 빠르게 찾기위해 고안된 구조각 노드의 key값이 해당 노드의 자식노드의 key값보다 작지 않거나 크지 않은 완전 이진트리키 값의 대소관계는 부모-자식 노드 사이 간에만 성립하며 형제 노드 사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자식노드의 최대 개수는 힙의 종류에
https://haneulkim214.github.io/templates/blogs/Algorithms/photos/binary_search_1.png배열이 정렬되어있을 경우, 절반씩 줄여나가면서 탐색하는 기법1억 개 목록을 선형탐색할 때, 1억 번을 연산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