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수 있는 수량의 순서 있는 열거
t1 = ()
t2 = (5, )
t3 = (5,6,4,5)
리스트에서는 대괄호 "[,]"를 이용해 만들었다면
Tuple에서는 소괄호 "(,)"를 이용해 만들수 있다.★값이 1개만 들어있는 튜플을 만들때에는 t2 = (1, )처럼 값을 하나 넣고 콤마를 넣어주어야한다
Tuple은 set자료형이랑 달리 중복된 값을 넣을 수 있습니다.내부의 값이 중복되도 상관없습니다.
값이 변하지 않는다.
내부의 값을 변경하거나 삭제 할 수 없다.
리스트의 요소를 지정된 함수로 처리해준다.파이썬 표준에 포함 되어있는 내장 함수이다.
여러개의 데이터를 한 번에 다른 형태로 변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원본 리스트를 변경하지 않고 새 리스트를 생성
map 타입으로 결과를 리턴하기 때문에 리스트나 tuple 등으로 변환한다.
a = [1.2, 2.5, 3.7, 4.6] for i in range(len(a)): #range(len(a))를 사용해 인덱스 가져옴 a[i] = int(a[i]) #int로 변환해 저장 a = [1, 2, 3, 4]
실수로 저장된 리스트가 있을 때, 모든 요소를 정수로 변환
a, b = map(int, input().split()) # 입력받은 값을 정수로 변환
input().split()을 사용하면 입력값을 변수 여러 개에 저장할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