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받는 모든 값의 자료형이 문자형으로 정의 됨.
a == 1 or a == 2 > 맞는 코드
a == 1 or 2 > 틀린 코드
while : 숫자 반복, 또는 조건 반복을 위해 사용
for : 주어진 자료를 모두 순회 할 때 주로 쓰임(=이터레이션)
명령어와 변수 사이에 온점을 사용
exa = "--" b = ["A","B","C"] a.join(b) 'A--B--C'
둘 다 해당 문자가 처음 나온 위치를 반환.
만약 찾는 문자가 없을 경우,
find()의 경우 -1을
index의 경우 예외로 간주하여 오류를 발생시킴
일반적인 경우는 find
만약 없는 경우에 대한 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index 사용
기본값은 왼쪽부터 찾는 것 ! 만약 문장이 길어서 왼쪽부터 찾는 것이 불편하다면 ?
rfind() rindex() 사용!
오른쪽부터 위치를 찾아 반환해줌 !
필요없는 문자 지울 때 사용
.strip('지울문자')
주로 공백을 지울 때 사용
아무것도 쓰지 않고 .strip() 하면 문자열 양끝 공백 지움
a = '아 제가 할 게요.'
a.strip('아')
a= '제가 할 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