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 0, b = 1
for n in range(20):
print(a, end=' ')
n = a + b
a = b
b = n
내장함수 : 우리가 많이 쓰는 것을 파이썬 프로그램에 저장해놓음
ex. input(), print(), int()
외장함수 : 누군가가 만든 유용한 프로그램의 함수
ex. 터틀 라이브러리(거북이 움직이기)
x에 숫자값을 입력하면 절댓값을 반환. 정수 또는 실숫값에 적용
abs(7) 7 abs(-7) 7 abs(-7.2) 7
문자열을 입력받아 의미상으로 계산 가능할 경우 연산 결괏값을 돌려줌
eval('1' + '10') 110 eval('1+10') 110 ab=3 eval('a'+'b') 3
참이면 True, 하나라도 틀리면 False 반환
a = [0,1,2,3] all(a) false # 논리값 => 0 ==false, 1 == True
하나라도 참이면 True, 모두 거짓이면 False 반환
a = [0,1,2,'abc', ''] any(a) True
값을 정렬하여 리스트로 돌려줌. 괄호 두개!!
sorted((4, 15, 36, 23))
[4, 15, 23, 36]
- 숫자값의 정렬은 튜플 자료만 정렬 가능함. 괄호 () 한번만 쓰면 오류 발생
반복 가능한 자료를 짝으로 묶어 주는 함수.
자료만 묶어주기 때문에 자료의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list()함수를 이용하여 짝으로 구성된 형태의 값을 리스트 자료로 확인할 수 있음.zip([1,2,3],['가','나','다'] list(zip([1,2,3],['가','나','다'])) [1,'가'][2,'나'][3,'다']
자료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뒤 (순서, 값)으로 이루어진 튜플의 쌍으로 돌려줌
a = [a,b,c,d] list(enumerate(a)) [(0,'a'),(1,'b'),(2,'C'),(3,'d')]